309 0

주요 역세권별 대중교통 이용 통근통행자의 주거지 분포 분석

Title
주요 역세권별 대중교통 이용 통근통행자의 주거지 분포 분석
Other Titles
Residential d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 commuter by major subway influence area : focus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Author
한상욱
Alternative Author(s)
Han, Sang Uk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각 중심지를 이어줄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교통체계의 중요성이 증가되면서 대중교통중심의 도시개발방식(TOD)을 구축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TOD는 도시를 압축 개발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도할 수 있고, 보다 친환경적인 도시 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TOD는 단순한 대중교통의 공급만이 아니라 토지이용, 도시설계 등 다양한 분야가 조화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서울시는 각 역의 이용특성 및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 보편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다루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중교통이 도시의 상업, 업무, 여가, 문화 등 용도별 기능과 집적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도시민의 대중교통 이용패턴을 통해 드러날 수 있는 실질적 업무중심지인 ‘대중교통의 중심지’를 파악하는 연구는 현실적으로 찾기 어려우며 이와 연계한 ‘중심지의 배후 주거지역’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 1000만의 대표적 대중교통 중심 도시 서울과 주변의 인천광역, 경기도를 포함하는 수도권 대중교통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내 업무중심 통행량을 파악하고, 파악된 각 중심지를 대상으로 주변 주거지역과의 통행량을 분석하여 및 주변지역의 주거지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서울시의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한 업무활동중심지가 어느 지역으로부터 집중이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각 업무중심지 별 주거지 분포에 대한 특성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가공하여 업무활동이 목적인 승객만을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한 DATA를 바탕으로 서울시내 각 업무활동 중심지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각 업무활동 중심지를 크게 강남중심업무지구, 종로중심업무지구, 여의도중심업무지구 및 기타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역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출근시간대 출발지의 승차인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출근시간대 대중교통 이용 통근통행자의 주거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각 버스 정류장 및 지하철 역 승차 인원을 GIS를 사용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행정동별로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공간상에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GIS 분석기법을 이용, 색의 농도를 다르게 구분하고, 어느 지점의 주거지 분포도가 높고 낮은지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지도(Map)화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위와 같은 대중교통 통행자료를 통한 실증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강남중심업무지구로 출근하는 사람들의 주거지는 지하철 2호선 아래쪽 라인을 따라 서울시 남부에 집중되어 일괄적인 주거지 분포를 보이고 있는 반면, 종로중심업무지구는 동북권과 서남권으로 나뉘어진 형태, 지하철 2호선 라인을 따라 특정 지역에 집중된 형태, 양쪽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의도 중심 업무지구는 서부에 집중된 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용산구의 서울역은 인접한 종각역과 비슷하게 동북권과 서남권으로 나뉘어진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가산디지털단지역은 서남권에 고도로 집중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도시계획상 주요 논점중 하나인 직주근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각 업무중심지 주변에 거주하며 도보로 통근통행하는 사람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강남에서 거리가 가까운 용산구나 성동구, 종로에서 가까운 중구에 주거지 분포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각 업무중심지와 주거지 상호간의 통근통행에서 직주근접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거지 선택 요인으로는 지가, 교통환경, 주거환경, 상업환경, 교육환경, 보건환경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의 조정을 통해 각 업무중심지 주변의 주거지역을 살려 직주근접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7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5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RONTIER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AL ENGINEERING(첨단건축도시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