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4 0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의 플레이 경험 연구: 발터 벤야민의 산책자(Flaneur) 개념을 중심으로

Title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의 플레이 경험 연구: 발터 벤야민의 산책자(Flaneur) 개념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Playing Experience in Mobile Game Platform - Focusing on Walter Benjamin’s Flâneur concept -
Author
이진
Keywords
모바일게임; 모바일게임 플랫폼; 산책자; 모바일역할수행게임; 위치기반게임; Mobile Game; Mobile Game Platform; Flâneur; Mobile Role-Playing Game; Location-Based Game
Issue Date
2018-12
Publisher
인문콘텐츠학회
Citation
인문콘텐츠, No. 51, Page. 207-224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의 플레이 경험을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산책자(Flâneur)’ 개념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벤야민의 산책자는 주체와 행위, 공간을 아우르는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모바일 게임의 플레이어와 플레이, 공간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다층적 인물인 산책자의 세부적 인물형들을 통해 모바일 게임의 플레이어가 놓인 맥락과 정체성에 대해 접근할 수 있다. 보헤미안적 구경꾼으로서의 산책자는 거리감을 유지한 채 스펙터클로서 전투를 바라보게 되는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플레이어를, 적극적으로 사건을 재구성하는 탐정으로서의 산책자는 실제 공간에서 가상의 의미를 탐색하는 위치기반 게임의 플레이어가 놓인 맥락을 함축적으로 제시한다. 각각의 모바일 게임 장르에서 플레이어들은 산책자 플레이를 통해 각기 다른 공간적 변화를 직간접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경우, 수집과 강화를 통해 역사적이고 사회적 경험을 배제한 비장소화의 양상을 보인다. 반면, 위치기반 게임의 경우 이동과 생성에 의해 일상의 공간을 재장소화면서 혼합 현실을 적극적으로 생성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y experience on mobile game platform through Walter Benjamin’s ‘Flâneur’ concept. Benjamin’s flâneur is a complex concept that encompasses subject, action, and space, providing a basis for an integrated look at the player, play, and space of a mobile game. The multi-layered flâneur’s detailed figures can approach the context and identity of the player in the mobile game. The flaneur as a bohemian viewer is a player in a mobile role-playing game that sees battle as a spectacle while maintaining a sense of distance. The flâneur as a detective who actively reconstructs an event is a player of a location-based game and implicitly suggests the context in which it lies. In each mobile game genre, players interact directly or indirectly with different spatial changes through flaneur play. In the case of mobile role playing games, it shows the aspect of spleen digestion which excludes historical and social experience through collection and reinforc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ocation-based games, the mixed reality is positively generated while the daily space is replayed by movement and generatio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60553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564
DOI
10.18658/humancon.2018.12.51.20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