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0

경막외척수병용마취에서 needle through needle 방법과 double segmental 방법의 비교

Title
경막외척수병용마취에서 needle through needle 방법과 double segmental 방법의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between needle through needle and double segmental techniques for combined spinal and epidural anesthesia
Author
권혜미
Alternative Author(s)
Kwon Hyemee
Advisor(s)
전종헌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척수마취와 경막외마취를 동시에 실시하는 척수경막외병용마취는 단독으로 척수마취 혹은 경막외마취를 시행하였을 때보다 성공률이 높아 매우 효과적이다. 척수경막외병용마취는 처음에 각각 같거나 다른 척추분절에서 척수마취와 경막외마취를 하는 방법(double segmental technique, DST)으로 시작했으나 같은 척추분절에서 경막외마취바늘 안으로 가는 척수마취바늘을 넣어 국소마취제를 주입하고 경막외마취바늘이 거치된 상태에서 경막외카테터를 삽입하는 방법(needle through needle technique, NTN)이 있다. 이 논문의 목표는 척수경막외병용마취의 두 방법인 DST와 NTN의 수행시간, 성공률, 척수마취효과, 부작용 등을 조사하고 두 방법을 전향적 무작위 대조연구로 비교하여 보았다. 척수경막외병용마취로 선택수술이 예정된 한쪽 슬관절전치환술을 받는 환자를 무작위로 NTN군 43명과 DST군 44명으로 배정하였다. 양군의 시술시간, 경막외강천자 시도횟수, 척수강천자 시도횟수, 경막카테터 거치 시도횟수, 시술자의 바뀜 횟수 등을 측정하였다. 또한 척수마취의 마취높이로 척수마취 성공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척수경막외병용마취의 부작용으로 카테터의 위치이동, 두통, 천자부위의 요통, 수술후 오심과 구토, 우발적 경막천자 등을 조사하였다. 척수마취바늘에 의한 척수강천자 시도횟수는 NTN군(1.4±0.9)에서 DST군(1.8±1.4)에 비해 의미 있게 적었으나 그 외 시술시간, 경막외강천자 시도횟수, 경막카테터 거치 시도횟수, 시술자의 바뀜 횟수 등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DST군에서는 경막외마취와 척수마취가 모든 환자에서 이루어졌으나 NTN군에서 경막외마취는 모두 이루어졌으나 척수마취에서 마취높이가 낮은 불완전이 1 예, 척수마취 실패가 3 예 있었으며 그 중 1 예는 척수강천자도 실패하였으나 두 군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척수경막외병용마취의 부작용으로 카테터의 위치이동이나 두통, 천자부위의 요통, 수술후 오심과 구토, 우발적 경막천자 등에서 NTN군과 DST군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우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척수경막외병용마취에서 NTN 방법과 SST 방법은 척수강천자 시도횟수에서 NTN 방법이 더 적었다는 것 이외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환자에서 척수경막외병용마취를 시행할 경우 시술자의 기술적 익숙함에 따라 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8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2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