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9 0

애착 유형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새둥지화의 반응특성 연구

Title
애착 유형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새둥지화의 반응특성 연구
Author
김희경
Advisor(s)
박경진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애착 유형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새둥지화의 반응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첫 번째 주제는 애착 유형에 따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새둥지화의 반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 주제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새둥지화의 반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대상자를 성인으로 한정하고, 친밀 관계 경험 척도(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질문지(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새둥지화(Bird's Nest Drawing; BND)를 이용하여2015년 8월 28일부터 10월 2일 까지 G도에 위치한 E금속회사(78명)와 S토목용 철강재 회사(66명)의 재직 중인 사원, G도의 A평생 교육원 사진반, 서양미술반, 한국화반 수강생 회원(76명), C도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98명)으로 총 308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애착 유형의 분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 308명의 평균은 62.97, 표준 편차(애착 회피 20.68, 애착 불안 21.11)로 나타났으며 절단점은 63점으로 절단점을 기준으로 분류된 애착 유형은 안정형 1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두려움형 76명, 거부형 67명, 몰입형 95명으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안정형 애착은 전체 누적 퍼센트 중 32.5%, 두러움형은 24.7%, 거부형은 21.8%, 몰입형은 21.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주제인 애착 유형에 따른 새둥지화의 반응 특성과 인지조절전략의 하위영역간의 다변량 분석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둥지 크기에 대한 분석에서는 두려움형이 자기 비난과 관련한 경우, 몰입형에서는 긍정적 초점변경과 관련된 경우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둥지의 기울기에 대하여 몰입형은 어떠한 유의한 관련도 나타나지 않았으나 거부형과 안정형, 두려움형에서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그 중 두려움형에서는 7개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영역중 5개의 영역과의 관련성을 보였다. ‘둥지의 견고함’에 대하여 모든 애착 유형에서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부모 새와의 거리’에 대하여 몰입형과 안정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거부형과 두려움형에서는 유의미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부모 새의 유무’에 대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통계 처리에서 거부형과 두려움형, 안정형에서는 애착 유형에 따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새둥지화의 반응 특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몰입형 애착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양육 활동’에 대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분석은 몰입형 애착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거부형, 두려움형, 안정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간 사용’에 대한 차이는 몰입형 애착 유형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사용된 색의 수’에 미치는 영향이 몰입형과 안정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거부형과 두려움형에서는 나타났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 주제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새둥지화의 반응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둥지의 크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 비난이였으며, 자기 비난 점수가 높을수록 둥지의 크기가 작아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둥지의 견고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타인 비난과 조망 확대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 새와의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긍정적 초점변경, 자기비난, 긍정적 재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양육활동의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부정적 몰입, 현실 수용, 자기 비난 순으로 나타났다. 공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부정적 몰입과 조망확대로 나타났다. 사용된 색의 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타인 비난 이였으며, 타인 비난 점수가 높을수록 사용된 색의 수는 적어지는 방향으로 연관이 있었고, 두 번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긍정적 초점 변경이며, 이는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62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6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E](예술디자인대학원) > ART THERAPY(미술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