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5 0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특성 및 지역사회에의 영향 분석

Title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특성 및 지역사회에의 영향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Network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and Its Impact on Local Community: Focusing on Social Venture Valley in Seongsu-dong Area
Author
이유리
Alternative Author(s)
LEE, Yu Ri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재생의 패러다임 변화로 현재의 도시재생사업은 지역사회의 물리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측면의 조화를 고려한 종합적 도시재생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토교통부는 2013년 12월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였으며, 2014년 4월 전국에 걸쳐 13곳의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지정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낙후·쇠퇴지역의 복합적 재생, 지역경제 활성화, ‘커뮤니티’ 활용 및 활성화를 강조한 서울형 도시재생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2014년 12월 5곳의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구역을 지정하였다.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구역 중 한 곳인 성수동의 경우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으로 지정되기 이전부터 사회적경제조직에 의한 민간 차원의 자생적 도시재생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었다. 성수동의 사회적경제조직은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협업·연계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커뮤니티를 강조하는 현 도시재생의 목표와 부합하는 것으로, 이에 성동구는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에서 사회적경제조직과 그들의 커뮤니티 네트워크와 연계를 통한 도시재생사업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성수동의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 네트워크인 ‘소셜벤처 밸리’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측면에서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움직임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경제조직을 활용한 도시재생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을 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1단계인 ‘사회적경제조직 특성 분석’과 2단계인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1단계의 사회적경제조직 특성 분석의 경우 사회적경제조직 대상의 대인면접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성수동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중추조직을 분석하였다. 또한, 2단계의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분석에서는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유입 및 움직임에 의한 지역사회의 변화와 주민인식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1단계 분석 결과, 성수동 사회적경제조직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조직형태, 활동특성과 관계없이 조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내·외부 커뮤니티가 혼합되어 커뮤니티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2가지 유형의 중추조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에 물리적 시설 제공, 지원, ‘커뮤니티’를 담당하는 조직으로 내부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추조직의 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의 내부 커뮤니티에 속해 있으나 지역·주민단체와 같은 지역사회와의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는 조직으로 지역사회와 사회적경제조직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추조직의 유형이 나타났다. 즉, 성수동의 사회적경제조직은 이 2가지 유형의 중추조직을 중심으로 내·외부 커뮤니티 네트워크와 지역사회와의 커뮤니티 네트워크 관계를 형성·확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단계 분석은 1단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움직임으로 인한 지역사회의 변화 및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조직에 의해 지역사회에 제공되는 주요 활동 및 공간의 경우 대부분이 중추조직에 의해 주최·제공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연계가 활발한 중추조직(2Cc)에 의해 제공되는 활동 및 공간에 대한 인지여부, 참여/이용경험, 만족도가 다른 조직에 의해 제공되는 활동 및 공간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경제조직의 유입 및 움직임이 지역변화 및 주민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항목별 지역경제 활성화, 이웃 주민과의 관계 개선(또는 형성), 사회적경제조직과의 소통 및 교류 증가, 마을 행사 참여 및 관심 증가, 지가 및 임대료 상승이 이에 해당하여, 삶의 질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경제조직의 움직임이 지역사회의 발전 및 개선, 네트워크 요소 형성과 더불어 도시재생 측면에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그러나 사회적경제조직의 근본적 사회 목적 활동 활성화 및 지역사회에의 영향 극대화를 위해서는 첫째, 사회적경제조직에 대한 경제적 기반 안정화를 통한 비영리 영역의 활동 증대 및 네트워크 구축 확대가 요구된다. 둘째,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중추조직 육성·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형성 및 인적·공간적 거점을 마련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로서 사회적경제조직과의 연계가 필요하다.|Nowaday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trying to integrated regeneration that includes not only physical factors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 by changing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As part of its effort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Special Act for Promo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on December in 2013. They are also working on 13 priority project areas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is areas that considered as urgent and highly effective for generation, decided on April in 2014. Furthermore, in c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y decided 5 pilot project areas for urban regeneration of Seoul type on December in 2014. The project focused on ‘integrated regeneration in deteriorated area’, ‘improving local economy’ and ‘improving community’. Seongsu-dong area is one of the pilot project areas for Seoul type’s urban regeneration, and it is regarded as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based community network before started Seoul type’s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y on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local community by studying 'Social Venture Valley', which is a social enterprises based community network in Seongsu-dong area. This research is progressed two stages; first stage is to examine ‘analysis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network’ and second stage is to examine‘analysis social enterprises impact on local community’. First stage of this research uses social network analysis by collecting data from face-to-face survey with various social enterprises from this area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network. According to analysis,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network in Seongsu-dong area has two types of 'hub enterprises'. The first type connects inner community network that provides physical facilities and connects community with other social enterprises. The second type connects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network with local community network and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Thus, these two types of hub enterprises build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network in Seongsu-dong area, by ext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ner community, outer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network. Second stage of this research us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enterprises activities to local community, by collecting data from survey with local residents. The analysis shows that role of social enterprises activities, such as program and facility in local community, are provided by hub enterprises that results from first stage. Social enterprises activities especially provided by ‘2Cc’ as most active hub enterprises in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network, by cooperating and connected with other enterprises that has most high record to awareness, experience of participation and use, satisfaction in local community. Furthermore, local and residents perception has changed because of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has many positive effects on local community. Social enterprises activities helps in improving local economy, improving (or creating) relationship with neighbors, increasing communicate with social enterprises, increasing interest of local activities, raising property value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t can be converge on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y, which is utilizing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 network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rist, stabilizing economic fundamental of social enterprise is needed to reinforce community network and improve local community activities for pursuing social purpose. Second, arranging human resource and spatial stronghold is needed to urban regeneration in local community through supporting hub enterprise of community network.; Nowaday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trying to integrated regeneration that includes not only physical factors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 by changing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As part of its effort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Special Act for Promo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on December in 2013. They are also working on 13 priority project areas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is areas that considered as urgent and highly effective for generation, decided on April in 2014. Furthermore, in c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y decided 5 pilot project areas for urban regeneration of Seoul type on December in 2014. The project focused on ‘integrated regeneration in deteriorated area’, ‘improving local economy’ and ‘improving community’. Seongsu-dong area is one of the pilot project areas for Seoul type’s urban regeneration, and it is regarded as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based community network before started Seoul type’s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y on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local community by studying 'Social Venture Valley', which is a social enterprises based community network in Seongsu-dong area. This research is progressed two stag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6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5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URBAN DEVELOPMENT MANAGEMENT AND REAL ESTATE(도시개발경영·부동산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