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7 0

농촌거주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경험과정

Title
농촌거주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경험과정
Other Titles
Depression experience process of the rural women elderly
Author
이은영
Alternative Author(s)
Lee Eunyoung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농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경험 과정을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설명함으로써 그들의 우울 과정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충주시 2개면에 거주하는 여성으로 연령은 만 70세에서 86세까지였고 지역사회의 보건지소에서 의뢰받은 3명과 4개의 마을회관에서 한국판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에 의해 경도 이상의 우울을 나타내는 노인들 중 연구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여자(7명)를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포화될 때 까지 수집하여 총 10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1인당 면담 횟수는 2~3회 이루어졌고, 1회 면담 시의 시간은 40분에서 6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수집 기간은 2016년 2월부터 2016년 4월까지였다. 자료의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open coding) 하였고, 패러다임을 통해 축코딩(axial coding)을 하였으며,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에 의하여 핵심범주(core category)를 도출하였고 이어서 과정분석(coding for process)을 하였으며 상황모형(conditional matrix)을 제시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76개의 개념, 28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촌거주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경험 과정의 핵심범주는 ‘마음을 다스리며 하루하루 살아가기’로 나타났다. 2. 농촌거주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경험 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가족과의 관계가 변화됨’, ‘가족에 대한 가슴앓이를 함’, ‘신체적 변화로 고통스러움’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은 ‘가라앉음’이었다. 이러한 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농촌에서의 삶이 힘에 겨움’이었고, 중재적 조건에는 ‘건강이 걱정됨’이었다. 농촌거주 여성 노인이 ‘가라앉음’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과거에 연연해함’, ‘내 처지에 몰두함’, ‘현실을 수용함’, ‘스스로 극복함’, ‘도움을 받음’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소소한 일상을 살아감’, ‘잘 되길 소망함’, ‘체념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3. 농촌거주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경험 과정에서 중심현상은 ‘가라앉음’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허탈함’, ‘침울함’, ‘감내함’, ‘살아감’의 네 단계로 나타났다. 4. 농촌거주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경험은 ‘절망형’, ‘수용형’, ‘극복형’의 세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농촌거주 여성 노인들의 우울감 경험 과정은 ‘가라앉음’ 속에서 ‘마음을 다스리며 하루하루 살아가기’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농촌거주 여성 노인들 중에는 잘되길 소망하며 주어진 평범한 하루를 살아가는 이들도 있지만 답답하고 침체된 일상 속에서 그저 하루하루를 무료하게 살아가고 있는 노인들도 있다. 이러한 농촌거주 여성 노인들을 돕기 위해서는 이들이 어떤 처지에서 살고 있는지 깊이 있는 이해와 공감이 필요하다. 죽음만을 기다리거나 지나온 과거를 후회하는 삶에서 앞날을 기대하고 희망을 품는 삶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특수한 환경과 상황에서도 전문적인 간호기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상황에 놓인 대상자들의 요구에 적절한 간호중재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실무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임상이나 농촌지역의 보건소, 보건지소 등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문제에 접근하는데 있어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해 줄 것이다. 또한 농촌 여성노인들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적 중재방안을 제시하며, 이러한 건강관리를 통하여 우울감이 심해져 고위험군의 우울증이나 자살의 위험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2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6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