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5 0

연구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연구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uggestions for Improving Research Administration : Focusing on the H Institute
Author
장한솔
Alternative Author(s)
Hansol Jang
Advisor(s)
정요섭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966년 2월 개원하여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시발점으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계는 정부의 꾸준한 지원 아래 경제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정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중앙행정기관이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사업을 일컫는다(홍지훈, 2015: 5). 의 가치를 강조하고, 과학기술계가 국가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부각시키고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산 편성을 계속적으로 확대하여 연간 약 20조원의 연구비를 투자하는 한편, 연구관리의 중요성에도 역점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른 효율적인 연구관리를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사항들을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연구관리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 번째, 표준 연구관리 매뉴얼 마련이다. 발주처 또는 연구과제 수행기관 간의 상이한 연구관리 매뉴얼은 종종 연구현장의 혼란을 야기한다. 용어를 표준화하여 제각각인 용어의 혼돈으로부터 발생되는 오해를 줄이고 원활한 소통을 함으로서 연구관리의 수월성을 대폭 증가시키고, 연구비 관리 절차의 표준화를 통해 연구비 관리의 업무 수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물 소유권으로 인한 분쟁이 줄어들 것이며, 각 발주처 및 연구과제 수행기관의 상이한 규정으로부터 발생하는 혼란 및 절차상의 문제점도 줄어들 것이다. 두 번째,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이다. 규정상의 허점을 이용해 연구비를 횡령하는 등의 비도덕적인 연구책임자 및 연구비 정산 업무에 충실하지 않은 관리담당 행정원은 예로부터 현재까지도 대두되고 있는 연구관리의 문제점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부당행위를 저지른 당사자뿐만 아니라 해당 연구과제의 참여연구원에게도 불이익을 줄 수 있어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전문 회계법인의 확인 절차를 거치거나, 전문 회계사를 고용하는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타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는 통합연구관리시스템 개발이다. 연구과제 수행기관에서는 연구관리를 위해 전산연구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구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나 그 시스템이 모두 상이하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통합전산연구관리시스템을 구축을 위해서는 많은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합전산연구관리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하는 이유는 한번 구축된 통합전산연구관리시스템은 무기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연구관리 업무 수행에 있어서 여러모로 획기적인 혁신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상기에 제시한 개선사항이 모두 실현된다면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은 한층 더 발전하여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라갈 것이며, 대한민국 경제 및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25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95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MANAGEMENT[E](기업경영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