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0

시화호 환경 중 표층수와 퇴적물 내 브롬화난연제 및 대체물질의 분포와 오염원 추적

Title
시화호 환경 중 표층수와 퇴적물 내 브롬화난연제 및 대체물질의 분포와 오염원 추적
Other Titles
Contamination and source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s and their alternatives in water and sediment from Lake Shihwa, Korea
Author
정우창
Advisor(s)
문효방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환경(내측, 외측, 유입하천) 중 브롬화난연제 및 대체물질의 농도와 분포, 오염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층수 중 PBDEs, HBCDs, NBFRs, DP, OPFRs의 농도는 각각 0.86 ± 1.32 ng/L, 0.50 ± 2.39 ng/L, 17.4 ± 74.4 ng/L, 0.20 ± 1.02 ng/L, 876 ± 2421 ng/L로 나타났다. 퇴적물 중 PBDEs, HBCDs, NBFRs, DP, OPFRs의 농도는 각각 0.60 ± 75.3 ng/g dw, 143 ± 655 ng/g dw, 18.9 ± 30.5 ng/g dw, 10.4 ± 39.3 ng/g dw, 381 ± 899 ng/L로 나타났다. 같은 정점에서 분석한 이전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PBDEs의 농도는 급감하는 추세를 보였다. 국외 지역의 농도와 비교했을 때 BDE 209를 제외한 PBDEs, BTBPE, TCPP는 높은 농도 수준을 보였다. 시화호 환경 중 모든 대상매체에서 유입하천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이는 유입하천 인근 산업단지의 공장에서 오염원이 주로 발생함을 의미한다. 표층수 중 OPFRs을 제외하고는 매체별, 대상물질별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냈고, 이를 통해 유사한 오염원에 의해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유입하천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고 브롬화 BDE가 증가하는 패턴이 발견되었으며, 저 브롬화 BDE가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는 국내 Deca-BDE 시장의 지속적인 축소가 원인이라고 파악된다. 유입 하천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BDE 209의 양 보다 탈브롬화 현상에 의한 저 브롬화(BDE 153)의 축적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 브롬화(BDE 153)의 축적 패턴이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또한 같은 정점에서 분석한 이전의 연구와 비교했을 때 내측, 외측에서의 BDE 153의 포션이 매우 증가 하였으며, 이는 유입 하천에서 탈 브롬화현상으로 발생한 BDE 153의 2차 오염이 있다고 생각된다. 표층수에서 DBDPE+DP/BDE209 비는 유입하천, 내측, 외측 모두 1을 넘었으며, 퇴적물에서는 유입하천을 제외하고 1보다 낮았다. 현재 사용량에 직접적으로 우선 영향을 받는 표층수와 유입하천의 퇴적물의 DBDPE+DP/BDE209 비가 1 이상이라는 것은 기존 브롬화난연제에서 대체물질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고, 내측과 외측의 퇴적물에서 DBDPE+DP/BDE209 비가 1 이하인 이유는 오랜기간동안 BDE 209의 오염이 더 크게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6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9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RINE SCIENCES AND CONVERGENT TECHNOLOGY(해양융합과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