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1 0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상자의 파괴" 이론과 건축적 적용 방식에 대한 연구

Title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상자의 파괴" 이론과 건축적 적용 방식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rank Lloyd Wright's Theory of "the Destruction of the Box" and its Architectural Methods: Concentrated on the Early Works before 1910
Author
이세나
Advisor(s)
남성택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Frank Lloyd Wright(1867-1959)의 “상자의 파괴(The Destruction of the Box)”는 문자가의미하는 대로 전통적 ‘상자’의 파괴를 일컫는다. 육면체의 윗면을 바닥으로부터 세우는 네 개의 모서리를 없애면서 전통적인 상자를 파괴하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상자’는 단순한 육면체를 넘어, 하나의 완결된 건축, 정지된 건축을 내포하고 있다. ‘방’이라는 똑같은 크기의 상자를 나열하고, 그것들이 모여 큰 상자를 만들어내는 과거의 건축을 Wright는 타파하고 싶었던 것이다. 본 논문은 Wright가 궁극적으로 상자의 파괴를 통해 달성하고자 했던 것은 “유기적 단순성(Organic Simplicity)”이라는 가치였다고 주장한다. ‘단순성’은 서양 예술계에서 자주 언급되어 왔던 가치였는데, 라이트는 이를 ‘유기적 단순성’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사물 자체가 단순함이나 홀로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분리된 부분들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복합체를 이루도록 했다. 즉, 부분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더욱 중요시했던 것이다. 이는 건축의 물리적 요소에서의 적용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었다. Wright가 물질보다 더 집중하고자 했던 것은 내적 ‘공간’이었다. 유기적 단순성은 유기적 공간을 만드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던 것이다. 본 논문은 유기적 공간을 만들기 위한 상자의 파괴 방식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뉨을 보여준다. 그의 초기 건축에는 아직 전통적 상자의 모습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점진적으로 변형되기 시작한다. 첫째는 중첩의 파괴이다. 전통적 건축에서는 하나의 상자가 분할되며 다수의 상자 형태 방을 만들어 냈다. Wright에게 방은 하나의 독립적인 부분이었고, 그렇기에 전체에 종속된 일부가 아니었다. 방이 병렬적으로 놓인 상태가 전통적인 건축에서 나타난 평면이었다면, Wright의 건축에서는 거실과 식당을 중심으로 기존의 틀을 벗어나기 시작한다. 두 공간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자의 크기와 방향성을 가진다. 이는 직교하는 이동 방향 개수에 따라 이차원/삼차원으로 구분된다. 이차원 또는 삼차원의 이동은 각 공간의 모서리를 파괴시키며 두 공간을 중첩시키고, 중첩된 중간 영역과 함께 한 공간으로 통합된다. 둘째는 자유 평면의 파괴이다. 전통적 건축과 같이 방은 병렬적으로 배치되었지만, 방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며 완전한 통합을 이루는 상태이다. 벽난로를 거실과 식당의 중심에 위치시키면서 사람들이 모서리를 통해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두 공간은 하나의 상자 같은 형태를 띠지만, 내부는 완벽히 개방되고 자유로운, 기존과는 다른 열린 공간이 된다. 전통적 상자와는 다른 Wright만의 상자가 탄생한 것이다. 위의 상자의 파괴 방식들은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각 방식은 한 건물에서 동시에 나타나기도 하고, 같은 시기에 나타나기도 했다. 이렇듯 상자의 파괴는 Wright의 공간적 발전에 있어 핵심적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끊임없이 파생되는 상자의 파괴 방식을 계보도로 작성하여 그 중요성을 보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2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6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