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6 0

재가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Title
재가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Other Titles
Predi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uthor
김현미
Alternative Author(s)
Kim, Hyun Mi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초록 노인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면양상과 수면의 질 변화로 수면장애가 빈번히 발생하며, 지속적인 수면장애는 집중력 감소, 반응속도의 감소, 최근 기억의 장애를 가져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인지장애, 행동장애, 일상생활 활동의 기능장애 및 일상생활의 도구적 활동에 장애를 초래하여 낙상이나 골절을 유발하며 전반적인 건강상태,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의 수면장애를 나타내는 수면의 질 저하가 노화과정의 일종으로 여겨져 적절한 중재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건강한 노화를 위해 건강증진행위 중요성이 강조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수면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수면의 질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Pender의 Health Promotion Model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틀을 제시하였으며,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남, 녀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6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8월1일부터 9월15일까지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보건소 3곳에서 노인을 1:1로 면접하여 설문지에 기재하였다. 연구 도구는 지각된 건강상태, 한국판 수면의 질 도구 PSQI-K,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HPLP)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5점 중 평균 3.00±0.47점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비교적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였고, 자기효능감은 4점 중 평균 2.69±0.58점으로 중간 정도의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수면의 질은 평균 7.35±4.92점으로 Buysse 등에 의한 수면의 질 PSQI 점수 5점 이상을 수면 장애로 볼 때 63%의 노인이 수면 장애를 겪고 있으며, 수면의 질 하위영역으로 수면 잠복기, 수면시간,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효율 순으로 낮았다.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4점 만점에 평균 3.09±0.41점으로 건강증진행위 실천률을 나타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영역인 건강책임, 운동, 대인관계 영역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관리에서 다른 영역보다 점수가 저하되어 있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건강상태 차이를 알아보면 동거유형(F=2.922, p=.036), 경제상태(F=7.058, p<.001), 만성질환 수(F=9.47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경제상태(F=2.962, p=.03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차이는 성별(t=3.533, p<.001), 결혼상태(F=4.693, p=.004), 학력(F=5.989, p<.001), 동거유형(F=7.33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력(F=3.045, p=.019), 동거유형(F=3.688, p=.014), 경제상태(F=5.96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행위는 지각된 건강상태(r=.408, p<.001), 자기효능감(r=.456, p<.001)과 정(+)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면의 질(r=-.445, p<.001)과는 부(-)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제 1 단계로 개인적 특성 요인인 학력, 동거유형, 경제상태, 지각된 건강상태를 투입했을 때 23.8%의 설명력을 가지며, 제 2단계로 수면의 질을 투입했을 때 건강증진행위를 32.4%추가 설명했으며, 제 3단계로 자기효능감을 투입했을 때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총 설명력은 35.6%로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은 수면의 질(β=-.277, p<.001)이 가장 높았으며, 지각된 건강상태(β=.224, p=.004), 자기효능감(β=.222, p=.005), 동거유형(β=.192, p=.039)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는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이외에도 노년기의 생리적 변화로 야기되는 수면장애가 주요한 영향 요인이라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노년기의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건강증진행위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노인의 수면 증진 전략을 포함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 주요개념어: 재가노인, 예측요인,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의 질,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the predi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urvey. There were 146 participants all 65 or over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tatu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HPLP).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Statistics 21.0 for Windows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mean scores of the variable were 3.00 for perceived health status, 7.35 for sleep quality, 2.69 for self efficacy and 3.09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had very poor quality of sleep and performed a slightly above averag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Perceived health status(β=.224, p=.004), sleep quality(β=-.277, p<.001) and self efficacy(β=.222, p=.005) were significantly predi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Together they explained 35.6%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clusion: Sleep disorder is highly prevalent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Sleep of quality was one of the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h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sleep of quality. Key Words: Elderly, Predictors, Health promotion, Sleep Disorders, Self 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the predi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urvey. There were 146 participants all 65 or over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tatu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HPLP).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Statistics 21.0 for Windows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mean scores of the variable were 3.00 for perceived health status, 7.35 for sleep quality, 2.69 for self efficacy and 3.09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had very poor quality of sleep and performed a slightly above averag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Perceived health status(β=.224, p=.004), sleep quality(β=-.277, p<.001) and self efficacy(β=.222, p=.005) were significantly predi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Together they explained 35.6%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clusion: Sleep disorder is highly prevalent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Sleep of quality was one of the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h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sleep of quality. Key Words: Elderly, Predictors, Health promotion, Sleep Disorders, Self 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1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4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