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수, 두정일-
dc.contributor.author변지현-
dc.date.accessioned2020-02-12T17:03:43Z-
dc.date.available2020-02-12T17:03:43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12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9966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기본생활습관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검증을 통해 가정과 연계된 기본생활습관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친사회적 행동 교육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발달에 주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주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A시에 위치한 민간 H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 14명을 실험집단, A시에 위치한 민간 B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 14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에는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을 실시하지 않고 기존 누리과정에 따른 기본생활습관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선정한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교육기관에서 읽고, 가정으로 대여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을 적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평가하기 위해 40문항으로 구성된 김용주(2005)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김영옥(2005)이 개발한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하위요인인 청결, 질서, 예절, 절제 모든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모든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의 의의는 가정과의 연계 방법으로 기본생활습관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이다. 이는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효과적이고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가정과의 연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에게 실시하는 기본생활습관 교육으로 부모와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하여 가정과 함께 이루어진다면 유아들의 행동발달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기본생활습관 관련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Family-Collaborative Lifestyle-Build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Preschoolers Basic Living Habits and Pro-social Behavio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변지현-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유아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