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3 0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 교과에서 전통산수화 지도 방안 연구

Title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 교과에서 전통산수화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eaching Methods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in the Middle School's Arts Subjects based on Backward Design
Author
박주리
Alternative Author(s)
Park, Ju Ri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회화는 우리 민족의 미의식과 시대사상을 반영하고, 현재 우리 삶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전통 회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계승하여 문화적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고, 새로운 문화와 예술을 창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 회화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전통산수화는 산수 자연을 대상으로 그린 그림으로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 받은 회화 장르 중 하나이다. 전통산수화 감상을 통해 선조들의 자연관과 미의식을 유추해볼 수 있고, 산수화에 나타난 자연관을 통해 오늘날 가치를 잃어버린 자연의 아름다움과 존재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다는데 중요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또한 전통산수화 작품에 활용된 작가들의 독창적인 표현 방식을 통해 창의적인 예술 정신을 본받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미술 교육 안에서 전통산수화는 다른 전통 회화 장르 중에서도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거나, 표현 기법 습득 위주의 수업에 치우쳐 있어 삶 속에서 의미 있는 전통산수화 수업을 구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통산수화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 모형의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영속적인 이해를 중시하는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모형의 방법을 전통산수화 교육에 적용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를 밝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전통산수화 단원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전통산수화 수업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 기법 습득 위주의 전통산수화 수업의 목표를 재구성하여 의미 있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기존의 전통산수화 수업은 백과사전식의 감상에 그치거나 수묵을 중심으로 한 표현 수업에 치우쳐져 있어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의미 있는 수업을 구성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백워드 설계모형을 활용하여 전통산수화 수업에서 배제되었던 자연관과 미의식, 창조적인 정식을 포함한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는 전문적인 수업 설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학습자들은 영속적인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수업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통산수화 수업을 통해서 자신을 둘러싼 주변 환경을 탐색하여 미적인 인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통산수화 감상을 통해 전통산수화에 담긴 옛 선인들의 자연관과 미의식을 이해하여 미술문화 이해능력을 키우는 데 있다. 또한 산수화의 표현 기법을 적용하여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여 창의적인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단원과 수업지도안이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삶에 의미가 있는 전통산수화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이에 더 나아가 교사와 학습자들이 전통산수화를 어렵고 낯설게 여기며, 재미없고 고루한 것이라고 인식하는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전통 미술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의 미술 역시 존중하는 태도를 갖출 수 있기를 바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삶 속에서 미술을 향유하고, 학교에서 학습이 끝나더라도 미술 활동에 대한 경험이 의미 있는 경험으로 남아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1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1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