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4 0

시각신호 훈련방법과 청각신호 훈련방법이 태권도 돌려차기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시각신호 훈련방법과 청각신호 훈련방법이 태권도 돌려차기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n the Reaction Time of Tuning Kick in Taekwondo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Dynamic Auditory Sense Training and Dynamic Visuality Training
Author
조혜수
Advisor(s)
권태원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시각신호 훈련방법과 청각신호 훈련방법이 태권도 돌려차기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Reaction Time of Tuning Kick in Taekwondo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Dynamic Auditory Sense Training and Dynamic Visuality Training 조 혜 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훈련방법이 우수 집단과 비우수집단의 태권도 뒷발 몸통 돌려차기 반응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8주간의 훈련을 통해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유무에 따른 돌려차기 반응시간의 차이를 밝혀 실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각방법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차기 기술의 효율적인 수행과 실제 태권도 경기 상황에 부합되는 훈련방법을 제시하여 경기력향상에 필요한 기본 자료로써 활용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재학 중인 남자 태권도 선수들을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우수 집단과 비우수 집단으로 구분하여 시각신호집단과 청각신호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로 5명씩,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주 5회 1일 60분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기원 태권도 교본을 참고하여 준비운동, 본 운동, 정리운동으로 상위 5가지 범주아래 세부 13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작성하여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선택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앞발 얼굴 돌려차기, 앞발 몸통 돌려차기, 뒷발 몸통 돌려차기에 대한 자극을 무작위로 제시하여 뒷발 몸통 돌려차기에 대한 반응시간만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통계적인 차이검증을 위해 IBM사의 Window SPSS Statistics V. 21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의 시각신호 훈련 집단과 청각신호 훈련집단 간 돌려차기 반응시간의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우수 집단과 비우수집단의 집단 내 훈련 효과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우수 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왼발 몸통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가설 1)은 채택되었다. 2. 우수 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5), 가설 1)는 채택되었다. 3.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 <.001), 가설 2)은 채택되었다. 4.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 <.001), 가설 2)은 채택되었다. 5. 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가설 3)는 채택되었다. 6. 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1), 가설 3)은 채택되었다. 7.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4)은 기각되었다. 8.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4)은 기각되었다. 9. 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5)는 기각되었다. 10. 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5)은 기각되었다. 11. 비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가설 6)은 채택되었다. 12. 비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가설 6)은 채택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8주간 시각신호 훈련방법과 청각신호 훈련방법을 실시한 결과 시각신호 집단이 청각신호집단에 비해 우수집단의 경우, 비주발(undominated leg)의 왼발은 반응시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주발(dominated leg)의 경우도 매우 유의미한 반응시간을 미친 것으로 판정됬으며, 비우수 집단인 경우는 반대로 비주발, 주발 모두 시각신호집단에 비해 청각신호집단이 더욱 유의미한 반응시간을 이끌었다고 판정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9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2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