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 0

스포츠안전문화 및 스포츠안전교육 만족도에 대한 인식이 스포츠안전교육 참여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포츠안전문화 및 스포츠안전교육 만족도에 대한 인식이 스포츠안전교육 참여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Sports Safety Culture and Sports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on Continuity of Participation in Sports Safety Education
Author
봉은지
Alternative Author(s)
Bong Eun Ji
Advisor(s)
조성식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체육 및 스포츠 활동 참여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스포츠안전재단 스포츠안전교육프로그램의 재참여의도 및 추천의도 실천의도에 대한 차이를 연구하여, 교육과정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안전교육 참여자들의 재참여율을 높여 학습한 내용을 실천함으로써 안전한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포츠안전교육 현장에서 교육을 수료하는 교육생 중 무선표집방법을 사용하여 교육 참여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 된 35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된 자료 중에서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이중기입,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7부의 자료를 제외한 3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안전문화 인식의 차이 중 안전 가치관 요인 분석 결과 스포츠 활동 참여경력 1년 미만 집단과 학생 신분이 아닌자가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전태도 분석 결과 남성 집단과 학생 신분이 아닌자가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안전행동 분석 결과 남성, 30대 이상, 스포츠 활동 참여경력 5년 이상 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안전교육 만족도 중 시스템 만족도와 재단 만족도는 분석 결과 5년 이상 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안전교육 참여의 지속성 중 재참여의도를 분석한 결과 남성, 30대 이상, 전문대 이상, 5년 이상 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천의도의 경우 30대 이상 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안전교육 참여 집단의 스포츠안전문화 인식, 스포츠안전교육 만족도가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전행동 인식과 시스템 만족, 재단 만족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안전교육 참여 집단의 스포츠안전문화 인식, 스포츠안전교육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전행동 인식과 시스템 만족, 구성원 만족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단 만족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안전교육 참여 집단의 스포츠안전문화 인식, 스포츠안전교육 만족도가 실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천의도에서는 안전행동 인식, 구성원 만족, 재단 만족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실무적 관점에서 볼 때 첫째,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이 아닌자 즉 성인 중 스포츠활동 참여경력이 5년 이상 집단은 1년 미만 집단자 보다 가치관 인식요인이 낮은 것으로 보아 스포츠안전교육 구성 시 경각심을 다시 되새겨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좀 더 전문화된 스포츠안전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 관련 추천의도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쳤던 재단 만족 결과는 스포츠안전재단 인지도와 홍보가 미흡하거나 교육내용의 단순화로 타인에게 추천의도 필요성을 인지 못하였다고 사료됨으로 스포츠안전재단은 스포츠안전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꾸준히 시도하고 특화된 분야 사업으로 자리잡아 인지도 향상 및 스포츠안전재단의 특성을 살린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스포츠안전재단 교육현장에서 표집한 설문 대상자들은 주로 대학생들이 가장 많았음으로 본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연령층이나 세분화 시킬 수 있는 스포츠종목 분야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스포츠안전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스포츠안전정책 계획 수립과 안전교육기관 구축, 전문 인력양성 지원이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7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2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GLOBAL SPORT INDUSTRY(글로벌스포츠산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