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3 0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모델 개발 및 중요도 분석

Title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모델 개발 및 중요도 분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Importance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Competency Model for Microprocessor Course on NCS-based Curriculum
Author
임종현
Alternative Author(s)
Lim, Jong Hyun
Advisor(s)
안미리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기반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을 교육하는 전문교과 교사에게 교수역량 지침을 제시하여 산업현장 직무 중심 교육에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들이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교육에 필요한 교수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는 어떠한가. 첫 번째 연구문제에 답변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NCS, 학습모듈, 실무과목 3개 영역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의 필요성을 분석했다. 서울 및 대구지역의 일부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지도하는 우수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인 개방형 설문 조사 및 2회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초안을 도출했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 교과서를 집필하는 등의 전문성을 갖춘 6명의 우수 교사와 2명의 산업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하였고, 이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을 확정했다. 전문가 검토는 1:1 심층 검토를 실시했으며, 1인당 약 1시간씩 모두 8회에 걸쳐 진행했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답변하기 위해 실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에 대해 주요 역량 간, 각 주요 역량별 하위 역량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실시했다. AHP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교육경력 15년 이상으로 고교 직업교육 과정에서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우수교사 6명과 산업현장 전문가 2명 등 총 8명을 선정하여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NCS, 학습모듈, 실무과목 3개 영역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의 필요성 분석 결과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이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범교과적 내용임을 확인했다. 실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은 타겟 시스템 동작 원리 설명 및 제작 역량, 프로그래밍 역량, 전문성 개발 역량 등 7개 주요 역량과 20개의 하위역량이다. 실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수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로 행동지표를 나타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모델로 개발했다. 둘째, 실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 타겟 시스템의 회로도를 보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역량이 가장 순위가 높았다. 그 다음 교사 전문성 개발, 타겟 시스템 동작원리 설명 및 제작 역량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산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을 교육하는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시했다. 둘째,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교육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점검 자료를 제시했다. 셋째,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의 구성요소를 체계화했다. 넷째, NCS 기반 교육에서 전문교과의 특정 교과 교수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사례를 제시하여 여타 실무과목별 교수역량 개발 관련 연구를 위한 기반을 제시했다. 다섯째,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에 대한 진단 및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의 계기를 마련했다. 여섯째,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밝히는데 AHP 분석을 이용하여 중요도를 과학적으로 제시했고, 우선적으로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여 역량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일곱째,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역량별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전략을 세분화하여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74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96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