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8 0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재활병원 로비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재활병원 로비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Spatial Design of Lobby in Rehabilitation Hospital for Promoting Healing Environment
Author
이주영
Alternative Author(s)
Lee, Joo Young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는 2006년 이후 장애 인구수가 200만 명을 유지하고 있으며, 의학 발달로 평균수명이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장애인 및 노인에 관한 보건․의료․복지 및 재활에 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병원의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는데, 병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치유환경이 적용된 공간을 형성한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재활병원의 환자 및 보호자 및 병원 이용자들이 함께 활용하는 공간을 변화시키기 위해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공간 디자인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치유환경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재활병원 로비의 현장 조사를 통해 치유환경 디자인 요소 분석 및 각 로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 대안을 제시한다. 이후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재활병원 로비 공간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문헌 조사를 통한 재활병원과 병원 로비의 이론적 배경 및 치유환경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치유환경 디자인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활용한 치유환경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여 자연 친화성, 안전성, 접근성, 친근성, 사회성, 쾌적성의 6가지에 대해 요소마다 5가지의 세부항목을 작성하였다. 재활병원의 공공기관 중 국립재활원과 권역 의료재활센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자가 재활병원을 사례 조사하여 병원 로비의 공간 분석과 로비 공간에서의 치유환경 디자인을 조사 및 평가하였다. 로비유형은 평면에 의한 공간 유형과 단면에 의한 공간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사례 조사한 6곳의 병원 로비를 평면유형으로 분류하면 로비가 중심이 되는 홀형이 2곳, 선형이 1곳, 홀형과 선형이 복합된 복합형은 3곳이었다. 단면유형으로 분류하면 단층형은 사례조사 대상지에서 없었으며 복층형이 1곳, 단층형과 복층형이 결합한 절충형이 5곳으로 재활병원 로비에서는 개방감이 느껴지게 계획되어있었다. 재활병원 로비에서의 치유환경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접근성>안전성>친근성>자연 친화성>사회성>쾌적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왔다. 접근성에서 보면 개방적으로 공간이 형성되었으며 복도 폭의 간격이 넓어 휠체어의 사용에 무리가 없었다. 또한, 동선이 복잡하지 않아 길을 헤매지 않고 실과 실로의 이동이 가능하였다. 접근성에서 보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있어 로비 이용에 불편함이 없었다. 안전성의 측면에서는 병원 내 출입구 및 화장실 진료실 등에서는 단차이가 없어 휠체어를 타고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었다. 피난과 이동통로에 관한 내용이 통로에 부착되어있었고 일반적으로 병원 내 출입구는 2군데 이상 계획되어 있었다. 접수/수납 공간 및 대기 공간, 인포메이션 등의 가구는 라운딩 처리가 되어있어 공간을 이용할 때 위험하지 않았다. 바닥 마감재의 미끄럽지 않은 재질 및 계단의 논슬립 부분은 중간적 반영과 반영되지 않은 병원이 있었다. 계단 논슬립의 설치가 필요하며 바닥은 미끄럽지 않은 재질로 계획하여야 한다. 친근성에서 보면 공간 일부분과 가구 등에 목재를 활용하여 따뜻함을 주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석재 마감재를 활용하여 로비 공간에 들어가면 병원의 시설적인 느낌이 강하였으며, 다양한 편의시설 이용이 가능하지 않았다. 로비의 휴게공간이나 편의시설 등에 목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음료 자판기 외 편의점과 카페 등의 활용이 가능하게 공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자연 친화성에서 보면 병원 로비의 벽면은 한 곳 이상을 창으로 계획하여 외부 조경이 보이게 계획하였다. 중정이 있는 병원이 한 곳, 야외 테라스가 있는 병원이 한 곳, 야외 휴게실이 있는 병원이 한 곳씩 있었지만, 공간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자연물 도입방법은 화분 배치를 활용한 한정적인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수(水)공간 도입이나 실내 조경, 벽면녹화 등은 계획되어 있지 않았다. 로비의 공간이 넓은 병원은 수공간 도입이나 실내조경 등을 활용하며 공간이 좁은 병원은 벽면녹화를 활용하도록 한다. 쾌적성에서 보면 병원의 창의 크기 및 높이는 적절하였으며 온도와 환기는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자연채광과 조명은 조화를 이루고 있지만, 일부 병원에서는 조명이 밝고 반사율이 있는 바닥재가 있어 눈부심을 받을 수 있었다. 로비의 한 쪽 면을 창으로 계획하여 자연채광이 실내로 바로 유입되는데, 일사량을 조절 가능한 블라인드 계획이 되어있지 않은 병원들이 있었다. 블라인드 활용을 통해 일사량을 조절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로비는 공용공간이 성격이 강해 소음을 대처하는 방안은 없고 개방적 형태로 소리가 울렸었다. 휴게공간은 방음재를 활용하거나 공간을 따로 구획하여 커뮤니티에 불편이 없도록 해야 한다. 사회성에서 보면 로비 내 휴게공간은 공간이 협소하였다. 휴게 공간이 계획되어 있지 않아 대기공간에서 휴게 및 커뮤니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휴게 공간 외에 타인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거나 정보전달을 하는 공간은 게시판 설치나 독서 공간 외에 PC가 설치되어있는 공간은 없었다. 환자의 보호자 및 방문객들이 병원로비에 들어와도 휴게공간이나 카페에서 대화를 나누고, 휴게공간이 협소한 공간은 대기공간에서 대화를 나누었다. 가구의 수를 늘리며 커뮤니티에 불편이 없는 ㄷ자 형태의 가구 배치나 필요에 따라 이동이 용이한 의자를 활용한다. 휴게 공간 외에 로비에서 타인과 어울릴 수 있는 전시 공간, 강의실 등의 공간 계획 및 음악회, 강의 등의 프로그램 등을 개설하도록 하여야 한다. 기존의 재활병원 로비를 사례 조사하여 치유환경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이후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재활병원 로비 공간 디자인에 관하여 연구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재활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재활의 중요성 및 재활병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병원은 유니버설 디자인 및 배리어프리가 잘 적용되어 있어 안전성 및 접근성 부분에서 보면 공간 구성 및 계획이 잘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계획되는 재활병원의 로비는 안전성 및 접근성 외 치유환경 디자인 요소 중에서 자연 친화성, 친근성, 쾌적성, 사회성이 적극적으로 적용된 디자인이 필요하며, 치유환경이 조성된 병원 공간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4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5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