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 0

Identification of SSBP2 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stry in gastric adenocarcinoma and its relation to prognosis

Title
Identification of SSBP2 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stry in gastric adenocarcinoma and its relation to prognosis
Other Titles
면역화학염색을 통한 위선암에서의 SSBP2 발현의 확인과 예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uthor
방성식
Alternative Author(s)
방성식
Advisor(s)
장기석
Issue Date
202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연구 배경: Single-stranded DNA binding protein 2 (SSBP2)는 골수성 백혈구 환자에서 종양억제유전자의 후보로서 처음 발견되었다. 여러 고형암들을 대상으로 SSBP2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SSBP2가 종양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간세포암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종양 유발자의 역할로 작용 하는 것을 밝히기도 하였다. 위선암에서 SSBP2의 발현과 역할에 대한 연구는 보고 된 바가 없기에 이 연구에서는 위선암을 대상으로 SSBP2의 임상병리학적 의의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561명의 위선암 환자의 파라핀 조직에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여 SSBP2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SSBP2는 정상조직과 대부분의 위선암 세포의 핵에서 발현되었으며 종양세포들의 핵에서 전혀 발현되지 않는 경우를 음성으로 판독하였다. TCGA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자 분류에 따라 위선암을 4가지 세부아형으로 구분하였으며 HER2 유전자의 증폭 여부에 따라 양성과 음성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증례에서 SSBP2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539 례 중 24례에서 음성이었다. SSBP2가 음성인 경우는 진행된 T병기, 림프절 전이, 높은 TMN 병기와 연관성이 있었다. 생존 분석에서는 SSBP2가 음성인 경우 무재발생존기간이 의미 있게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체생존기간 또한 짧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지는 않았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보이는 아형의 경우 추적관찰기간 동안 재발하지 않았으며 불안정성이 없는 경우보다 무재발생존기간이 의미 있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 및 결론: SSBP2의 미발현은 높은 TMN 병기와 재발과 관련되어 있어 나쁜 예후인자로 생각이 되었다. TCGA 분자분류나 HER2 유전자 증폭여부는 SSBP2의 발현 여부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Introduction: Single-stranded DNA binding protein 2 (SSBP2) is a candidate for tumor suppressor in patients with myeloid leukemia.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ole of SSBP2 in solid tumors, and most studies have considered it as a tumor suppressor, whereas studi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ave demonstrated a pro-oncogenic function.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significance of SSBP2 in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ression of SSBP2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561 cases undergoing surgical resection. Negative expression of SSBP2 was defined as a complete negative of nuclear staining in the tumor cells. According to the molecular classification using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data, it is divided into 4 subtypes. Cases were divided into HER2 positive tumors and negative tumors according to HER2 amplification. Results: Most cases showed SSBP2 positivity and 24 out of 539 cases showed negative expression. Negative expression of SSBP2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T category, nodal status, and TMN stage. The cases that did not express SSBP2 showed significantly shorter recurrence-free survival (RFS) than positive cases. Overall survival (OS) was also shorter in the SSBP2 negative cas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ases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subtype,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 and RF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the cases with microsatellite stability. Discussion: Negative expression of SSBP2 was considered to be a poor prognostic factor associated with the high TMN stage and recurrence. SSBP2 express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olecular characteristics including TCGA molecular subtype and HER2 statu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36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9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