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 0

1930년 전후 경성부 청엽정 지역 내 주택지 및 문화주택에 관한 연구

Title
1930년 전후 경성부 청엽정 지역 내 주택지 및 문화주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idential District and Culture Housing of Cheongyeob-jeong Area of the Keijo in the 1930s
Author
조준호
Alternative Author(s)
Cho, Jun Ho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2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1930년을 전후로 경성부 용산면 청엽정(현 청파동) 지역에 개발된 주택지 및 주택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조약이 체결된 이후 1945년까지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은 조선은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조선의 국도(國都) 한성부는 경성부로 명칭이 교체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의 문물 및 제도가 끊임없이 도입되었다. 그 결과 도시의 공간구조는 전반적으로 근대화, 산업화의 과정을 겪게 되는 한편, 전통적인 농업 사회의 모습에서 점차 탈피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산업화에 따른 근대적 도시로의 변화는 도시 안팎의 유동인구는 물론 일자리를 찾아 이주하는 사람의 증가를 야기 시킴으로써 주거 환경의 급격한 악화를 가져왔다. 주택 부족, 위생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시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안을 모색해야 했으며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쾌적하고 건강한 주거지의 계획이었다. 지식인과 건축가는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근대 문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생활양식의 개선을 위한 교육에 앞장섰다. 생활개선의 교육은 새로운 근대 문화에 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시켰으며 생활 및 주택 양식 등 주거문화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즉 도시 환경, 주택지 그리고 주택은 서로 상호 관계를 맺으며 동시대에 하나의 축선 위에서 변화하여 당시의 시대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하나의 단상이 되었다. 당시 경성부에 속한 여러 지역 중 용산은 근대적 신도심의 출현과 도시 공간의 확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지역으로서 성곽 내부에 한정되어 있던 경성부의 근대적 도시 관점이 처음 성곽 내부의 공간을 벗어나 도로 및 상·하수도 계획, 도시계획이 이뤄지면서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청엽정은 경성부 용산면에 속한 하나의 동(洞)이며 용산 지역 중 서부에 위치하고 동쪽으로는 경성역에서 용산역으로 이어지는 철도 선로가 지나가고 있다. 청엽정은 1925년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주택지가 활발하게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개발 주체가 참여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경성부 내에 주택 보급이 부족한 상황이었던 시기에 도시계획가들 및 주택 개발업체들은 경성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개발을 계획하였는데 이런 상황 속에서 청엽정은 1925년에 동부 지역 신당리와 함께 최초로 주택지가 개발되었으며 이후 주택 개발 상황이 열악했던 1930년 후반까지도 꾸준히 주택지가 개발되었던 지역으로 주거정책, 주거문화 등을 고찰하는 데 의미가 있는 장소이다. 그러나 청엽정 내의 주택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며 적지 않은 오류가 있어 보다 정교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엽정 주택지 자체에 대한 지리적인 고증과 함께 주택지의 형성과정 및 입지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동시기에 계획된 주택 설계와 실질적인 주택 개량 사업의 추진 사이의 상호 관계 등을 확인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31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6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