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0

과체중 반려견을 위한 관절 보조기구 디자인 분석

Title
과체중 반려견을 위한 관절 보조기구 디자인 분석
Other Titles
Design Analysis on Joint Assist Device for Overweight Dog
Author
송지성
Keywords
Companion Animal(반려동물); Obesity(비만); Joint Auxiliary Equipment(관절 보조기구)
Issue Date
2019-1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5, No. 4, Page. 67 - 77
Abstract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질 좋은 사료와 실내사육으로 반려견의 신체활동 범위가 줄어 과체중 반려견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과체중 반려견에 대한 인식과 관절 건강에 있어서 견주들의 지식과 관심은 미흡하다. 완치가 불가능하기에 관절을 보호, 유지 할 수 있는 보조기구에 대한 비교·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기반으로 한국, 아시아, 유럽에서 제작부터 판매까지 이루어지고 제작과정에서 수의사, 정형외과, 재활 보조기의 전문의와 함께 운영되고 있어 반려동물의 고관절 전문지식과 함께 한국 매장에서 구매가 가능한 브랜드 중 판매율이 높게 나타난 한국은 은해반려동물보조기, 아시아는 Anifull, 유럽은 Balto의 보조기구 브랜드로 선정하였다. 전문서적, 문헌조사, 선행연구, 국내외 뉴스기사와 통계자료도 함께 살펴보았다. 디자인 분석은 디자인의 4가지 속성범주가 갖는 개념에서 디자인 결과 사실에 대한 물리적 특징인 색채, 디자인 결과에 내포되어 있는 가치와 의미인 시대성, 디자인의 동기와 원인으로서 사용에 대한 욕구인 편의성으로 3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시각적 구성요소와 의미를 이해하고 새롭게 떠오르는 반려동물 시장 강화를 위한 것으로 위와 같이 선정하였다. 그 결과, 색채는 반려인에서 반려견 중심으로 반려견이 인지하는 색상과 형태적 통일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대성은 현 시대의 과체중 반려견이 증가하는 반면에 반려견의 건강, 관절 관리에 있어서 다른 건강제품이 등장하는 반면에 보조기구에서는 과체중 반려견의 체형 골격을 고려한 보조기구 변화가 미비했다. 편의성은 반려인의 소재 및 품질관리와 보조기구 착용으로 피부질환과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가 많았다. 견주와 함께 반려견의 체중 감량은 심리적, 신체적, 생리적 효과 등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나 영향력은 국외에 비해 미비한 것으로 과체중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현재 견주와 과체중 반려견이 상호작용될 수 있는 매개체로 신기술 시대의 3D 프린팅과 IOT 등의 기술 결합으로 과체중 반려동물을 위한 전문적인 보조기구가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3D스캔, 3D프린팅 등을 통해 과체중 반려견에 있어서 정확한 사이즈 측정으로 맞춤 제작과 신기술 시대의 기술과 관절 보조기구의 결합으로 다기능적이고 반려동물과 반려인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상호연결된 제품을 개발로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awareness of pets has changed, the range of dogs’ physical activity has been reduced due to quality feed and indoor slaughter, and many overweight dogs have begun to appear. However, the awareness of overweight dogs and the knowledge and interest of the catchers in joint health are insufficient. Since it is impossible to fully repair,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explore auxiliary devices that can protect and maintain joints.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direction that considers the needs of partners and dog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ducts of joint aids released on the market. the company selected the brand as the eunhae Animal Assistor in Korea, Anifull in Asia, and Balto brand in Europe. It also looked at professional books, literature surveys, preceding studies, news articles and statistics at home and abroad. The design analysis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concepts of the four attribute categories of design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lor, the value and meaning implicit in the design results, and convenience of the desire for use as the motive and cause of desig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lor and shap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lor and morphological unity perceived by the dogs. In contrast to the other health products, dogs’ health and joint management did not change in the ancillary devices considering the body structure. Convenience was often given to skin diseases and stress due to the material and quality control of assistants and the wearing of assistive devices. The dogs’ weight loss, along with the dog’s weight loss, was less effective than those outside the country due to interactions such as psychological, phys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and the perception of overweight was low. The combination of technologies such as 3D printing and IOT in the new technology era required specialized aids for overweight pets. As a resul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developing interconnected products that are multi-functional and can satisfy both pets and partners with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joint aids in the new technology era.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85160&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2207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