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7 0

초기업 교섭의 형성과 노사의 전략적 선택 -해방 이후~1960년대 한국 면방직업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초기업 교섭의 형성과 노사의 전략적 선택 -해방 이후~1960년대 한국 면방직업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Strategic Choice of Labor-management for the Formation of Multi-Employer Bargaining in Korea - The Case Study of the Textile Industry during 1945-1960 -
Author
임상훈
Keywords
초기업 교섭; 면방직업; 성별 분리; 전략적 선택; multi-employer bargaining; textile industry; strategic choice
Issue Date
2019-06
Publisher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Citation
산업관계연구, v. 29, NO 2, Page. 1-38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서 초기업 교섭의 형성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기업 교섭이 형성되어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면방직업의 사례를 선택하였으며, 특히 이념과 법제도에 의거 설명하였던 기존 주장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해방 후부터 1960년대 시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방법론인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차와 2차 문헌과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였고, 삼자 기법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해방 이후 1960년대에 걸쳐 면방직업에서는 초기업 교섭의 형성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노-사의 전략적 선택의 결과로 나타났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한국 면방직업에서 형성된 초기업 교섭은 1960년대 이후에도 대한방직협회와 섬유노조 면방분회에 의해 집단교섭의 형태로 제도화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 초기업 교섭의 형성과정에 관한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노사의 전략적 선택을 고려함으로써 이념과 제도적 요인만을 상정하였던 기존 논의를 진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초기업 교섭은 서구의 맥락과는 달리 성별 직무 분리와 남성 중심의 내부노동시장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기업별 노조 체제하에서 형성되었다. 그 과정에서 여성 노동자들은 당시 환경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근로조건 향상 요구를 표출하기 위해 노동자 단결을 도모하여 상급단체와 협력하여 사용자를 상대로 교섭을 요구하였다. 이는 1980년 이후 기업별 단체교섭을 강제한 법제도 변화에 상관없이 면방직업에서 집단교섭이 지속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초기업 교섭의 형성은 환경적 요인이 아닌 고용의 다수를 차지하는 여성의 외부 노동시장으로의 배제와 노사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새로운 변수가 작용하였다는 점을 발견한 데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ation factors of multi-employer bargaining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have selected the case of the textile industry that has been formed since the formation of the enterprise bargaining, and it was mainly analyzed during the 1960’s after the liberation which can 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argument based on ideology and legal system . The first and second literature and interview data were used to conduct a case study, which is a qualitative methodolog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through the triple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the 1960’s after the emancipation, the formation of the multi-employer bargaining in the textile industry was the result of the labor-management’s strategic choice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Even after the 1960s, the Korean textile industry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the form of collective bargaining by the Spinners & Wewavers Association of Korea(SWAK) and the Federation of Korean Textile Worker’s Unions(FKTW).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advanced the existing discussion that considered the ideological and institutional factors by considering the strategic choices of labor and management that were overlooked in the discussion on the formation process of multi-employer bargaining. In particular, in Korea, multi-employer bargaining, unlike the western context, shows that female workers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despite the environmental constraints even under the enterprise union system, which is seen in the process of gender segregation and male- To form a union of workers and to negotiate with users in cooperation with FKTW. This is because the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textile industry has been continuing since the 1980s,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legislation that enforced enterprise bargaining. Therefore, the formation of the multi-employer bargaining in Korea is not an environmental facto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 new variable called exclusion from the external labor market and strategic choice of labor and management work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2912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1975
ISSN
1226-40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S](경영전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