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5 0

고전문학 수업에서 PBL의 적용 - 시나리오 작성을 중심으로 -

Title
고전문학 수업에서 PBL의 적용 - 시나리오 작성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Application of PBL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 Focusing on scenario creation -
Author
김상진
Keywords
고전문학과 PBL; 문제중심학습; 시나리오 작성; 상황의 假定; 현실응용; 흥미유발; 미래예측; 능동적 학습참여; 학문의 실용성; classical literature and PBL; problem-oriented learning; scenario writing; hypothesis of circumstances; application based on reality; interest; predicting future;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ers; practicality of learning
Issue Date
2019-10
Publisher
우리문학회
Citation
우리문학연구, v. 64, Page. 113-143
Abstract
이 논문은 PBL을 고전문학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PBL이란 Problem Based Learning의 약자로 문제중심학습을 일컫는다. 즉 학습자에게 문제 상황을 제시하면 학습자는 그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전공 지식을 활용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이다. 이러한 PBL은 처음 의과대학에서 출발하였으며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 상황은 이전의 경험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로써 학습자의 학습 효과가 상승되게 되자 이후 PBL은 다양한 전공으로 확장되었고 이제는 인문학으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 되었다. 고전문학을 PBL로 진행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자로 하여금 어떻게 문제해결을 하면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느냐는 것이다. 왜냐하면 고전문학은 이론 중심의 교과목이기 때문에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것이 여의치 않고, 그것의 결과로 문제 해결과정과 학습의 연결도 여의치 않다. 요컨대 시나리오를 어떻게 작성하느냐의 문제가 고전문학을 PBL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難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전문학의 PBL 시나리오 작성 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즉, 경험이 아닌 상황의 假定을 기반으로 작성되는 고전문학 PBL 시나리오는 그 방식에 따라 현실을 기반으로 응용한 사례, 흥미유발에 기초한 사례, 미래의 직업을 예측한 사례의 세 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또한 이들 세 가지의 시나리오는 PBL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유무나 학년 등에 따라 내용 구성이 다르다. 이는 시나리오를 작성 할 때 학습자에 따라 고려해야 할 내용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는 실제 수업의 사례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로써 PBL이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 참여 및 학문의 실용성을 높이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PBL refers to problem-oriented learning; in other words, learners are presented with problems that they need to solve. In this process, learning occurs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of majors; this is a learner-centric way of learning. PBL was first established in medical schools. In addition, the problems presented to learners targeted their previous experiences. As a result,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ncreased; since then, PBL has expanded to various majors, including the humanities. The most difficult challenge that occurs when utilizing PBL to teach classical literature is understanding the way in which learners can learn by solving problems a classical literature is a theory-based subject. Therefore,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present relevant problems; as a result,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learning. In short, the issue of creating scenario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in the process of using PBL to teach classical literature. Thus, this paper discussed way in which scenarios could be created to establish PBL for leaching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three ways to create classical literature PBL scenarios based on a hypothesis of circumstances, not experience: application based on reality; examples based on interest; and examples predicting future jobs. In addition, the three scenarios differ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content, based on learners" experience with PBL or their grade level. This indicates that different aspects of a learner"s skill set need to be considered when creating scenarios. Conversely, this study is based on actual class examples. It considers PBL to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increased practicality of learning.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27265&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1233
ISSN
1229-7429
DOI
10.20864/skl.2019.10.64.11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한국언어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