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훈-
dc.date.accessioned2019-12-10T07:03:00Z-
dc.date.available2019-12-10T07:03:00Z-
dc.date.issued2018-12-
dc.identifier.citation한국환경생태학회지, v. 32, no. 6, page. 686-697en_US
dc.identifier.issn1229-3857-
dc.identifier.issn2288-131X-
dc.identifier.urihttp://www.envecojournal.org/journal/article.php?code=6479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0914-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원격탐지기술의 발달로 인해, 산림지역과 같이 피복 분류작업이 난해한 지역을 비롯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세밀한 변화탐지를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취득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시계열분석의 과정에서많은 양의 지상 관측 데이터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도를 지상 관측데이터로 활용한 위성영상 분류 방법의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원주시이며, 산림지역과 시가화지역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연구 자료는2015년 3월에 촬영된 KOMPSAT-3A 영상과 2017년도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하였다. 서포트벡터머신(SVM)과 랜덤포레스트(RF)의 두 가지 상이한 화소기반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대상지에 대한 피복분류의 분류정확도를비교・분석하였으며, SVM 분석의 경우 다수 분석(Majority analysis)을 후속 진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산림식생만 포함한 지역과 연구대상지 전지역으로 구분하였고, 대상 면적이 협소한 습지는 분석과정에서 제외하였다. 분류 결과는오차 행렬의 전체 정확도가 두 가지 분류대상에 대해 RF 기법이 SVM 기법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지역만을대상으로 한 경우, RF 기법이 SVM 기법에 비해 18.3%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전체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둘 사이의 간격이 5.5%로 줄어들었다. SVM 기법에 다수 분석 (Majority analysis)을 추가로 실시한 경우, 1% 정도의정확도 향상이 나타났다. RF 기법은 산림지역의 활엽수를 분석해 내는데 상당히 효과적이었지만, 다른 대상에 대해서는SVM 기법이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단일시기 영상에 대한 화소 기반의 분류기법을 시험한것으로, 추후 시계열분석 및 객체기반 분류기법의 추가적인 적용으로 향상된 정확도와 신뢰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판단된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대면적의 토지계획에 유용할 것으로기대된다. Due to the advance in remote sensing technology, it has become easier to more frequently obtain high resolution imagery to detect delicate changes in an extensive area, particularly including forest which is not readily sub-classified. Time-series analysis on high resolution images requires to collect extensive amount of ground truth data.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land coverage mapas ground truth data was tested in classifying high-resolution imagery. The study site was Wonju-si at Gangwon-do, South Korea, having a mix of urban and natural areas. KOMPSAT-3A imagery taken on March 2015 and land coverage map published in 2017 were used as source data. Two pixel-ba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Random Forest (RF),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Forest only classification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whole study area except wetland. Confusion matrixes from the classification presented that overall accuracies for both the targets were higher in RF algorithm than in SVM. While the overall accuracy in the forest only analysis by RF algorithm was higher by 18.3% than SVM, in the case of the whole region analysis, the difference was relatively smaller by 5.5%. For the SVM algorithm, adding the Majority analysis process indicated a marginal improvement of about 1% than the normal SV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F algorithm was more effective to identify the broad-leaved forest within the forest, but for the other classes the SVM algorithm was more effective. As the two pixel-ba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were tested here, it is expected that future classification will improve the overall accuracy and the reliability by introducing a time-series analysis and an object-based algorithm. It is considered that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a large-scale land planning by providing an effective land classification method on higher spatial and temporal scale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위성정보활용센터 설립운영사업 의 연구비지원(18SIUE-B148326-01)에 의해 수행된 것임.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환경생태학회en_US
dc.subject고해상도 위성영상 분류en_US
dc.subject화소기반 분류en_US
dc.subject토지피복도 기반 지상관측자료en_US
dc.subject산림 분류en_US
dc.subject대규모 토지 계획en_US
dc.subject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CLASSIFICATIONen_US
dc.subjectPIXEL-BASED CLASSIFICATIONen_US
dc.subjectLAND COVERAGE MAP-BASED GROUND TRUTHINGen_US
dc.subjectFOREST CLASSIFICATIONen_US
dc.subjectLARGE-SCALE LAND PLANNINGen_US
dc.titleKOMPSAT-3A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산림식생의 임상 분류법 개발en_US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Method for Forest Vegetation on the Stand Level, Using KOMPSAT-3A Imagery and Land Coverage Map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6-
dc.relation.volume32-
dc.identifier.doi10.13047/KJEE.2018.32.6.686-
dc.relation.page686-697-
dc.relation.journal한국환경생태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송지용-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종철-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상훈-
dc.contributor.googleauthorSong, Ji-Yong-
dc.contributor.googleauthorJeong, Jong-Chul-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Sang-Hoon-
dc.relation.code2018019691-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
dc.identifier.pidpeter3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