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5 1968

동아시아 인어의 이미지와 서사를 통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과 역할

Title
동아시아 인어의 이미지와 서사를 통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과 역할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role as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image and narrative of East Asian mermaids
Author
강민경
Keywords
인어; 도교; 산해경; 신화; 태평광기; 상상력; 문화콘텐츠; 鮫人; 세이렌(siren); 인어공주; 스토리텔링; Mermaid; Taoist; Mountain Sea; Myth; Taipei Madness; Imagination; Cultural Contents; Shark; Siren; Mermaid; Storytelling
Issue Date
2018-11
Publisher
한국도교문화학회
Citation
도교문화연구, v. , no. 49, page. 211-242
Abstract
본 연구는 동아시아 인어 서사의 풍부한 자료들을 발굴해내고 서양의 인어와는 구별되는 동아시아의 인어 이미지를 분석하여 동아시아 상상력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인어 서사의 문화 콘텐츠화 가능성과 의미에 대해 탐구하였다. 먼저 동아시아의 인어 서사 원형과 구전 서사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는 원래 중국의 인어 서사가 들어와 활발히 전승되었으나, 다양한 곳에서 변형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도교적 상상력에 바탕을 둔 인어 서사가 곳곳에서 보인다. 이런 모습은 서양의 인어 형상과 사뭇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인어는 얼굴이 사람과 비슷하며, 비늘이 없는 흰 피부를 갖고 있다. 둘째, 인어의 눈물은 진주가 된다. 셋째, 인어는 어느 때든 비단을 짜는데, 물 밖으로 나와 인가에 머물면서 비단을 팔기도 한다. 넷째, 인어는 인간과 친밀하거나 우호적인 관계이다. 다섯째, 동양의 인어는 돌연변이가 아니라, 인간과 같은 보통의 존재이다. 여섯째, 인어가 사는 곳은 바다 속이고, 주로 용사궁에 있다. 인간의 삶을 방해하고 두려움을 주는 존재가 많았던 서양의 인어가 강력한 힘을 갖고 인간과 적대적인 관계였던 것과 매우 다르다. 그렇기에 동양의 인어 신화는 이미지의 특성을 잘 활용한다면 문화콘텐츠화에 좋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 전략을 짜기에 앞서 동서양의 인어 관련 문화콘텐츠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양하게 브랜드화되어 홍보하고 세계인의 관심을 끌고 있는 서양의 인어 신화와 달리, 동양 인어 서사를 활용하여 문화콘텐츠로 만들기 시작한 것은 그 역사가 깊지 않다. 이에 더욱 활발히 문화콘텐츠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전략으로 첫째, 다양한 영상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화, 둘째, 음악 분야에서의 콘텐츠화, 셋째, 지역 공간의 콘텐츠화를 꼽았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동양 신화의 콘텐츠화 작업을 제안해 보았다. 이는 단순히 서구 상상력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시도가 아니다. 도교를 바탕으로 한 동양 신화의 서사 속에는 그 민족 고유의 사유와 시대의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다. 본고는 인어 이미지에 투영된 당대인의 의식을 들여다보고 동아시아 상상력을 발굴하고 전파하는 데 유용한 도움을 줄 것이다. 지금까지 도교의 서사에 바탕을 둔 자료는 구비 문학과 종교, 문화 전공자들 간의 전문 영역에만 머물렀을 뿐 인접 학문 및 세상과 소통을 모색하는 시도를 적극적으로 보여주지 못했다. 도교의 서사 이미지들은 오늘날 환상성과 연관하여 무궁무진한 결합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문헌과 구전으로 내려오는 신화와 전설 속의 수많은 기이한 동물들은 동양적 상상력의 원천이 되리라 본다. 그 가운데 인어 서사의 문화콘텐츠화는 동아시아의 인어 형상을 현대와 세계에 소개하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rit of East Asian imager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the mermaid narrative in the cultural contents of East Asia by analyzing the images of East Asian mermaid distinguished from Western. First, I looked at East Asian mermaid prototypes and oral narratives. In Korea, the Chinese mermaid narrator originally came in and was actively passed on, but it appeared to be transformed in various places. In China and Japan, mermaid narratives based on Taoist imagination are seen everywhere. This shape has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mermaids.First, a mermaid has a face similar to a person and has a scaly, white skin. Second, the mermaid's tears become pearls. Third, a mermaid squeezes silk at any time. She goes out of the water and sells silk while staying in the accent. Fourth, mermaids are intimate or friendly relations with humans. Fifth, the Oriental Mermaid is not a mutation, but a normal being, such as a human being. Sixth, the mermaids live in the sea, mainly in the Yong-sa palace.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western mermaids, which had many beings that interfered with and frightened human life, with strong power and hostile relations with humans. Therefore, the mermaid of oriental mermaid can make a good contribution to the cultural contents if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are utilized well.Prior to the formulation of cultural contents strategy, we examined the status of cultural content related to mermaid in the East and the West. Unlike the myths of Western mermaids, which have been widely branded and promoted and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world, it has not been deeply started to make cultural contents using Oriental Mermaid narra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ulture contents plan more actively. In this study, firstly, the contents were made using various media, second, contents were made in the music field, and third, contents were made in the local space.In this way, we proposed the work of contentization of oriental myths. It is not simply an attempt to emphasize the difference from Western imagination. The narrative of oriental mythology based on Taoism reflects the ideology of the nation and the ideology of the times.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to look into the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ies projected in the mermaid image and to discover and spread East Asian imagination.Until now, materials based on the Taoist narrative have only stayed in the area of ​​specialized literature, religion, and culture, and have not actively shown up on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neighboring scholars and the world. The narrative images of Taoism have unlimited possibility of combining with fantasy today. So many myths and legendary strange animals coming down to literature and oral tradition will be sources of Eastern imagination. Among them, the cultural contentsization of the mermaid narrative will be very meaningful to introduce the mermaid form of East Asia to the modern and the world.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200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0473
ISSN
1598-790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동아시아 인어의 이미지와 서사를 통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과 역할.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