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6 93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주체화의 방식 - 한강과 오수연의 소설에 나타난 '음식'을 중심으로

Title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주체화의 방식 - 한강과 오수연의 소설에 나타난 '음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Literary Reproductions of Food and the Methods of Subjetification - With a focus on "food" in novels by Han Kang and Oh Su-Yeon -
Author
김미영
Keywords
한강; 오수연; 『채식주의자』; 『부엌』; 규율사회; 피로사회; 채식; 육식; 거식; 폭력; 복종적 주체; 성과주체; 광기; 우울; 낙오자; 평등; 세계시민; 공동체 사회; Kang; Oh Su-Yeon; The Vegetarian; The Kitchen; Literary Reproductions of Food; subjectification methods; disciplinary society; fatigue society
Issue Date
2018-09
Publisher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Citation
한국문예비평연구, no. 59, page. 239-270
Abstract
이 글은 한강의『채식주의자』와 오수연의『부엌』에 나타난 음식의 문학적 재현을 중심으로 작중인물들의 주체화 방식을 살펴본 것이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규율사회의 폭력성에 저항하는 주인공과 그녀를 둘러싼 가족의 모습을 음식문화와 결합하여 가부장 이데올로기의 폭력, 소통부재, 식물적 이미지 등을 보여주고 있다. 오수연의 『부엌』에서는 규율사회와 피로사회를 모두 체험한 작중인물의 주체화 방식을 음식문화, 몸의 부조화, 위장장애, 신화적 상상력 등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채식주의자」,「몽고반점」, 「나무불꽃」의 3부작으로 구성된 『채식주의자』는 돌봄의 대상인 영혜와 모성성을 보여주는 언니 인혜의 삶을 그리고 있다. 규율사회에서 복종적 주체로 살아왔던 두 자매는 음식문화를 통해 자신들의 삶에 제동을 건다. 영혜의 채식과 거식은 규율사회의 한 단면인 폭력성을 거부하는 행위이자 나무 인간을 지향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동시에 자신이 그동안 섭취한 육식에 대한 죄의식을 담고 있다. 반면, 인혜와 결합된 음식문화는 그녀의 모성성을 보여주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정신병원에 입원한 영혜를 돌보는 인혜는「나무불꽃」에 이르면 실질적 주인공으로 변모한다. 동생의 급변한 삶이 계기가 되어 자신의 삶을 고백하고, 성찰하는 인혜의 자의식에 초점이 모아지기 때문이다. 그녀야말로 규율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살아 온 복종적 주체였으나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며 자신의 삶이 가면적이고, 허구적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인물이다. 오수연의 『부엌』은 「부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나는 음식이다」, 「땅 위의 영광」으로 이루어진 연작소설이다. 인도로 유학을 온 두 여성 화자 ‘나’를 통해 채식과 육식은 단순한 음식 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신분과 권력이 내재된 복잡한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 작품의 공간은 인도라는 규율사회이지만 이곳으로 유학을 온 ‘나’와 일본인 다모 등은 피로사회의 성과주의에 지친 인물들이다. 이들은 규율사회의 뿌리 깊은 음식문화 앞에서 인간의 평등과 존재에 대한 사유를 하게 된다. 즉 음식을 통해 문화적 차이를 체험하고, 그 안에서 상생, 평등, 생명존중 등의 세계시민의식을 인식한 것이다. 이러한 서사에 포식자와 피식자의 독특한 관계를 내포하는 인도 신화 ‘끼르띠무까(kirtimukha)’의 반복적 구조와 식인 풍습은 다모의 실종과 겹쳐지면서 신화적 상상력을 환기시킨다. 두 작품에 나타난 채식, 거식, 육식, 음식 나누어 먹기 등의 다양한 문학적 재현은 복종적 주체의 자의식을 보여주거나, 세계시민의식의 심화와 확장을 보여주는 주체의 성숙한 면모를 드러내는 의미 생성에 기여하고 있다.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ubjectification methods of characters in The Vegetarian by Han Kang and The Kitchen by Oh Su-yeon with a focus on the literary reproduction of food. Han Kang's The Vegetarian shows the violence of patriarchal ideology,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vegetable images by combining food with the main character resistant against the violence of the disciplinary society and the aspects of her family around her. Oh Su-yeon's The Kitchen shows the subjectification method of the character, who has experienced both the disciplinary society and fatigue society, through the food culture, disharmony of the body,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and mythical imagination.Consisting of three parts "The Vegetarian," "Mongolian Mark," and "Flaming Trees," The Vegetarian depicts the lives of Yeong-hye, the object of care, and her elder sister In-hye, who epitomizes maternity. Living as obedient subjects in the disciplinary society, the two sisters put on the brakes in their lives through the food culture. Yeong-hye's vegetarianism and anorexia represent her acts of rejecting violence, an aspect of the disciplinary society, and demonstrate her will of orientation toward a tree person. They also reflect her guilt about the meat that she has consumed. The food culture associated with In-hye shows her maternity. Taking care of Yeong-hye at the mental hospital, she becomes the practical main character in "Flaming Trees." Watching her sister's life changing abruptly, she confesses and looks back on her own life, in which process the focus is on her self-consciousness. She, who used to be an obedient subject that was successful in the disciplinary society, realizes that her life has been under a mask and fictional, looking back on her inside. Oh Su-yeon's The Kitchen is a serial novel consisting of "What Has Happened in the Kitchen?", "I Am Food," and "Glory on the Earth." Two female narrators are studying in India, telling their stories as "I" in the novel. They show that the vegetarian diet and the meat diet is not a simple matter of food taste, but hold complicated meanings with the social status and power inherent in them. The space in the novel is a disciplinary society called India. "I" and the Japanese lady Tamo, who are studying in India, are tired of achievement-first tendency in the fatigue society. They think of human equality and existence before the food culture deeply rooted in the disciplinary society. That is, they experience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food and have global citizenship in them such as mutual survival, equality, and respect for life. Along with this narrative, the repetitive structure and cannibalism custom of the Indian myth "Kirtimukha," which contains unique predator-prey relations, are combined with the missing of Tamo, arousing the mythical imagination. Various literary reproductions of food in these two works including the vegetarian diet, anorexia, the meat diet, and food sharing make a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meanings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t the growth stage to show the self-consciousness of an obedient subject or the intensification and expansion of her global citizenship.
URI
http://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8872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9857
ISSN
1226-7627
DOI
10.35832/kmlc..59.201809.23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주체화의 방식 - 한강과 오수연의 소설에 나타난 '음식'을 중심으로.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