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2 5881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호용-
dc.date.accessioned2019-12-08T06:10:21Z-
dc.date.available2019-12-08T06:10:21Z-
dc.date.issued2018-06-
dc.identifier.citation법과정책연구, v. 18, no. 2, page. 73-107en_US
dc.identifier.issn1598-5210-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6624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8878-
dc.description.abstract내분비교란물질은 숨 쉬는 공기, 먹는 음식 및 마시는 물 등 우리의 일상에 노출되어 있는 생활리스크이다. EU의 경우 내분비교란물질 노출의 비용은 보수적으로 연간 1570억 유로로 추산된다고 하며, 이런 이유로 세계보건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은 내분비계 교란 물질의 영향을 해결해야 할 ‘글로벌한 위협’이라고 부르고 있다. EU는 내분비교란물질의 규제 입법에 가장 선제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예컨대, 화학물질등록・평가・허가・제한명령(REACH), 식물보호제품명령(PPPR), 살생물제명령(BPR) 등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내분비 교란 화학 물질에 대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EU 조치의 속도는 용서할 수 없을 정도로 느리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내분비교란물질에 대한 관리현황은 EU에서의 그것에 비할 때 매우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내분비교란물질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황 법제와 과제를 밝히면서 필요한 부분에서는 주로 EU제도와 부분적으로 미국제도와 비교하면서 검토하였다.먼저 내분비교란물질에 관한 규제체계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화학물질 규제법 체계는 환경호르몬 물질 혹은 환경호르몬 함유제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거나 혹은 특정 환경호르몬 물질 및 그 함유제품을 개별적으로 규정하는 규제시스템을 취하고 있지 않다. 환경호르몬물질 자체에 대한 규제는 주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화평법) 및 화학물질관리법에서 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규제방식으로는 등록제도, 유해성 심사를 통한 유독물질 지정, 위해성 평가를 통한 중점관리물질 지정,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의 지정 및 관리제도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환경호르몬물질 함유제품 규제와 관련해서는 일반적 규제로서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안전기준과 표시기준 마련, 살생물제, 위생용품, 기타 생활용품에 대한 규제가 있고, 개별적 규제로서 식품기구 및 용기・포장의 규제에 대한 규제 등을 두고 있다. 또한 환경보건법과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등을 통하여 어린이용품에 대한 특별규제로 두고 있는데, 어린이제품에 대하여 별도의 규정을 둔 것은 어린이가 성인에 비해 화학물질에 취약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타당한 입법이라고 판단된다. 다만 아동용 섬유제품의 안전기준과 표시기준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특별한 규제에 따르도록 해야 할 것임에도 일반 공산품에 대한 보편적 규제에 따르고 있다는 점, 어린이용품을 규제함에 있어서도 관련 법령에서 영・유아, 유아, 아동, 어린이 등의 개념이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고 그 연령기준이 통일되어 있지 못하다는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환경호르몬물질 노출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리스크 평가에서 그 인과관계가 불확실하다. 이것은 조기 경보 신호에 대응하고 가능한 한 환경호르몬물질은 안전한 대체물로 바꾸어야 한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내분비장애물질 규제를 위한 구체적 관리방안으로는 EU에서와 같이 화평법상의 중점관리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 요청된다. 한편 소비자의 관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분비장애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생활 속 제품에 대한 정보이며,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정보공개나 정보제공의 의무에 대하여 충분한 책임의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Endocrine disruptors are life risks that are exposed to our daily lives, such as breathing air, food to eat and drinking water. In the EU, the costs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are conservatively estimated at € 157 billion per year, which is wh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call it the “global threat” to address the effects of endocrine disruptors. The EU has taken the most preemptive stance on regulatory legislation on endocrine disruptors. For example,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 Plant Protection Products Regulation (PPPR), and Biocidal Products Regulation (BPR). Nevertheless, the pace of EU action for consumer protec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unforgivably slow. The management status of endocrine disruptors in Korea is very poor compared to that in EU.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urrent legislation and tasks of Korean endocrine disruptors and examined them in comparison with the EU system and the US system.First, the regulatory system of endocrine disruptors have not a regulatory system that integrally controls Endocrine disruptor substances or products containing Endocrine disruptors, or individually regulates specific Endocrine disruptor substances and their products. Regulation of the environment hormone substance itself is mainly carried out in the Law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Chemical Substance Control Act. Representative regimes include registration system, designation of toxic substances through hazard examination, Designation of substances, authorization materials, restriction substances,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prohibited substances, and so on. As for the regulation of Endocrine disruptor substance-containing products, there are regulations on the safety standards and labeling standards for biochemicals, biocidal products, hygiene products and other household products, And regulations on containers and packaging. In addition, the Special Law on Environment and Health Law and the Special Law on the Safety of Children’s Products puts special regulations on children’s products. It is judged that it is a legitimate legislation considering that children are vulnerable to chemicals compared to adults. However, the safety standards and labeling standards for children’s textile products are subject to special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of Children’s Products. However, they are subject to the universal regulation on general industrial products. In regulating child products,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ncepts of infants, children and children are confused and the age standards are not uniform. Exposure of endocrine disruptors can affect health, but the causal relationship is uncertain in risk assessment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early warning signals and, as far as possible, replace environmental hormone substances with safe alternatives. As a specific management method for the regulation of endocrine disruptive substances, it is requested to actively use the key management substance, the permissible substance and the restricted substance system as in the EU. 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thing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is the information about products in daily life that contain endocrine disruptors, and governments and companies should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disclosure of this information and the obligation of providing information.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5M3C8A6A06012442).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법정책학회en_US
dc.subject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화평법)en_US
dc.subject살생물제법en_US
dc.subject등록제도en_US
dc.subject중점관리물질en_US
dc.subject허가물질en_US
dc.subject제한물질en_US
dc.subject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en_US
dc.subject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en_US
dc.subjectLaw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K-REACH)en_US
dc.subjectBiocidal products Acten_US
dc.subjectRegistration Systemen_US
dc.subjectKey Management Substancesen_US
dc.subjectLicensed Substancesen_US
dc.subjectRestricted Substancesen_US
dc.subjectSafety-Certified Living Chemicalsen_US
dc.subjectSpecial Act on Children's Product Safetyen_US
dc.title환경호르몬물질 관리의 현황과 과제en_US
dc.title.alternativeCurrent Status and Tasks of Endocrine Disruptor Management in Korea - Regulation of bisphenol A, phthalate and nonylphenol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18-
dc.identifier.doi10.17926/kaolp.2018.18.2.73-
dc.relation.page73-107-
dc.relation.journal법과정책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조태제-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호용-
dc.contributor.googleauthorCHO, Tae-Je-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Ho-Yong-
dc.relation.code2018018751-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POLICY SCIENCE[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POLICY STUDIES-
dc.identifier.pidhoyong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