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윤-
dc.date.accessioned2019-12-08T06:04:17Z-
dc.date.available2019-12-08T06:04:17Z-
dc.date.issued2018-06-
dc.identifier.citation행정논총, v. 56, no. 2, page. 279-311en_US
dc.identifier.issn1229-6694-
dc.identifier.uri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1357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8867-
dc.description.abstract대규모 국가 재정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예비타당성조사는 그 실질적인 방법론을 규정하는 일반지침의 개정에 따라 제도적으로 변화해왔다. 20여 년간 일어난 제도변화의 배경과 내용, 중요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서 현행 예비타당성조사제도의 한계와 개선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예비타당성조사에 대한 연구들은 특정사업부문별 또는 지침 적용단계별로 논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예비타당성조사의 이론, 제도, 운용상의 이슈들을 분석하고 제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침들의 변화가 일반적인 이론에 부합하는지, 그 지침의 적용 방법이나 실질적 과정이 지침의 이론적 입장에 부합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1999년부터 현재까지 개정된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의 변천 사항 중에서 실질적으로 복수의 변화가 있었던 지침들을 주요 이슈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이슈별로 이론적 쟁점을 논의하고 지침의 변천 과정과 이로 인한 제도의 문제점 및 함의를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주요 이슈별로 파악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행 예비타당성조사의 문제점을 이론, 제도, 지침, 적용 차원으로 나누어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were introduc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new large-scale government projects and have changed in consistency with revisions of the “General Guideline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which defines the methods and standards for conducting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Existing research on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has focused on specific project areas or implementation issues.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etical, institutional, and implementation issues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to assess the comprehensive validity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The related literature is reviewed, along with the general guidelines, first published in 1999 and revised five times, while major challenges were identified related to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Then, challenges were divided into four topics: 1) the problems with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inconsistent with theories; 2) the problems with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inconsistent with the guidelines; 3) the problems with the guidelines’lack of necessary contents; 4) the problems with implementing proper guidelines. Lastly, theoretical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each topic are discussed and policy implications suggested.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en_US
dc.subject예비타당성조사en_US
dc.subject일반지침en_US
dc.subject경제성 분석en_US
dc.subject비용편익분석en_US
dc.subjectAHPen_US
dc.subjectPreliminary Feasibility Studyen_US
dc.subjectGeneral Guidelinesen_US
dc.subjectEconomic Analysisen_US
dc.subjectCost-Benefit Analysisen_US
dc.subjectAHPen_US
dc.title예비타당성조사제도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예비타당성조사의 지침을 둘러싼 쟁점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Validity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Focused on General Guideline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56-
dc.relation.page279-311-
dc.relation.journal행정논총-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태윤-
dc.contributor.googleauthor조예진-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Tae-Yun-
dc.contributor.googleauthorCho, Ye-Jin-
dc.relation.code2018019053-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POLICY SCIENCE[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dc.identifier.pidtykim100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CY SCIENCE[S](정책과학대학)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