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1750

한국에서 ‘졸혼(卒婚)’을 원하는 여성들

Title
한국에서 ‘졸혼(卒婚)’을 원하는 여성들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fe Experience of and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Korean-Chinese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Adjustment Perido
Author
정문주
Keywords
중년여성; 졸혼(卒婚); 현상학적 연구; Middle-aged; marriage graduation; Phenomenological studies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여성심리학회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여성, v. 22, no. 4, page. 689-711
Abstract
본 연구는 주 호소 문제가 ‘졸혼’으로 상담센터를 내방한 중년여성에 대하여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연구목적에 동의한 6명(주 참여자4인 보조 참여자2인)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 연구 참여자4인이 경험하고 있는 공통된 의미단위 26개를 기초로 하여 8개의 구성요소와 핵심의미 2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 번째,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공통적으로 나타난 심리적 현상은 이혼을 원하지는 않았지만 같이 살기를 원하지 않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자유’를 원함에도 불구하고 ‘주어지는 자유’을 원하는 것이지 ‘스스로 쟁취하는 자유’를 원하는 것은 아니었다. 세 번째 참여자들은 졸혼을 선택하고자 하는 가장 큰 이유로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없어서’, ‘이혼하면 남편에게 돈을 받을 수 없으니까’, 그리고 ‘자녀가 불쌍해서’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참여자들은 ‘졸혼’은 실제 ‘이루어질 수는 없는 것’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졸혼(卒婚)을 원하는 중년 여성의 생각과 심리적 본질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여 그들을 상담하는 상담자들에게 상담개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iddle - aged women who visited the counseling center with having main issue, graduating the marriage life.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articipants (4 main participants, 2 assistant participan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26 common units experienced by four participants in the main study, it was extracted to eight components and two key mean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of this study did not want divorce as well as did not want to live together. The second is that despite of wanting ‘freedom’, it does mean ‘liberty given by spouse’ not ‘freedom to acquire oneself’. The third, that’s why participant wanted ‘marriage graduating’ was ‘I can not get money from my husband if I get divorced’, I can’t work anything, and ‘I have children’ Finally, all participants thought that it was actually ‘impossible’ to ‘graduating the marriage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ought and psychological ess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want to ‘graduating on the marriage’ and to search for the background of that in society. This study also provided direction information to counselors who counseled middle-aged women wanting to ‘graduating on the marriage’ how the counselors approach to them.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0482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544
ISSN
1229-0726
DOI
10.18205/kpa.2017.22.4.0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한국에서 ‘졸혼(卒婚)’을 원하는 여성들.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