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7 0

브랜드 라이프스타일 샵의 실내공간 표현특성 연구 - 서울시에 오픈한 라이프스타일 샵을 중심으로 -

Title
브랜드 라이프스타일 샵의 실내공간 표현특성 연구 - 서울시에 오픈한 라이프스타일 샵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for Brand Lifestyle Shop - Focused on Lifestyle Shops Opened in Seoul -
Author
남경숙
Keywords
라이프스타일샵; 상호작용성; 접근성; 상징성; 복합성; Lifestyle Shop; Interaction; Proximity; Symbolism; Compound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 26, no. 6, page. 202-209
Abstract
21세기, 사람들의 생활수준과 물질적 요구는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진되어왔다. 소비자들은 상업공간에서 쇼핑하는 동안 단지 구매만 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에 의해 제공된 어떤 경험까지를 체험하기 원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서 지어진 한국 브랜드 라이프스타일 샵의 공간구조와 공간표현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라이프스타일 샵의 실내공간표현의 4가지 특성, 상호작용성, 접근성, 상징성, 복합성을 추출하였다. 둘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에서 8개 브랜드 라이프스타일 샵을 선정하였고, 셋째, 사례연구 분석을 통하여, 브랜드 라이프스타일 샵의 표현특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첫째, 브랜드 라이프스타일샵은 브랜드와 소비자 간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는 공간을 제공해 준다. 둘째, 이 공간에서는 다른 상업공간과는 차별화 되는 공간을 제공해 준다. 이 특별한 공간에서의 경험은 라이프스타일 샵을 더욱 개별화되고, 차별화되게 하여 소비자에게 그들이 쇼핑할 때 더 많은 흥미를 느끼게 한다. 셋째, 판매공간에 비해 비판매공간의 비율이 더 많았다. 넷째, 공간 연출에서 상호작용성은 브랜드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각 브랜드별 라이프스타일 샵은 같은 디자인 컨셉을 가지고 있지만, 각 사례에서 다양한 표현 방식을 적용한다. 각 브랜드별 라이프스타일 샵마다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자기 브랜드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공간들이 존재한다. 이것이 브랜드에 의해 사용된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확장을 위한 경제적인 전략이다.In 21 Century,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material requirements have been continuously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demand for commercial space is not merely content with purchases. What's more, the consumers want to experience some activities offered by the brand while shopping. In this paper, we mainly research the spatial structure and the spatial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brand lifestyle shop of Korean brands built in Seoul area. First, through the documentary research, we get the four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performance of brand lifestyle shop, which are , interaction, proximity, symbolism and compound. Secondly, we select 8 brand lifestyle shops in the Seoul area as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analyze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four characteristics in these cases. Thirdly, through the analysis of case study, we make a concrete analysis of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s brand lifestyle shop. Finally, we reach the conclusions: First, the brand lifestyle shop provides space for both brands and consum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cond, in brand lifestyle shop there is a special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ther commercial space. The existence of this special space makes brand lifestyle shop more personalized and more specialized, and makes the customers have more interesting when they are shopping. Third, compared with the sales space, the non-sales space accounts for a larger proportion. Fourth, in spatial representation, interaction plays a role in connecting brands with consumers. Fifth,brand lifestyle shop has the same spatial concept, but it has different application and embodiment in each case. Each brand lifestyle shop has its own unique features. This is the economic strategy used by br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pansion.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708034066036.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444
ISSN
1229-7992
DOI
10.14774/JKIID.2017.26.6.20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