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391

다산 불교문자의 자기 검열

Title
다산 불교문자의 자기 검열
Other Titles
The Self-censorship of Jung Yak-yong's Buddhist writings
Author
정민
Keywords
정약용; 자기 검열; 불교; 첨삭; 대체; 탈락; 검열기제; Jung Yak-yong; self-censorship; Buddhism; correction; substitution; dropout; censorship mechanism.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한문학회
Citation
한국한문학연구, no. 68, page. 39-78
Abstract
丁若鏞(1762-1836)은 18년간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이 기간 중에 수많은 불교 관련 시문을 남겼는데, 이 가운데 문집에 수록된 것은 4분의 1도 채 안 된다. 일종의 자기 검열이 행해진 셈인데, 이 글에서는 이 같은 자기 검열의 여러 양상을 살펴보았다.일반적으로 자기 검열은 사회적 불이익과 제재, 또는 비난을 피하기 위한 위장과 은폐 행동이다. 그 양상은 문제의 소지가 있는 글을 배제하거나 첨삭하는 행위로 나타난다. 이글에서는 첨삭과 대체, 탈락의 세 가지 층위로 다산 불교 문자의 자기 검열 양상을 살펴보았다. 첨삭은 말해놓고 감추기의 방식으로 나타나고, 대체는 숨기면서 드러내기의 양상을 보여준다. 탈락은 버려서 배제하는 태도다.다산은 유배 온 죄인이었던 자신의 처지와, 자칫 당시 배제적 가치 영역에 속한 불교 친화적 글쓰기가 불러올 불이익을 의식하여, 자신이 쓴 불교 관련 글을 문집에서 빼거나, 싣더라도 문제가 될 부분을 검열해서 수록했다. 이밖에도 다른 사람의 이름을 빌려서 쓴 경우도 많다. 여기서 주목한 점은 불교 관련 글에 대한 자기 검열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해서이다.자기 검열의 양상은 실제로 검열 이전과 이후의 상태가 함께 남아 있어야 검토가 가능하다. 두 가지가 모두 남아 있는 예는 그다지 흔하지 않은데, 다산 자신이 불교와 관련해서 써준 글을 배제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찰이나 승려들이 이를 보배롭게 보관했기 때문이다. 필자는 광범위한 자료 수집 작업을 통해 문집에 누락된 대단히 많은 분량의 불교 관련 시문을 발굴 정리함으로써 이같은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다산은 그때그때의 요청에 따라 글을 썼고, 이후 혹시 발생할 수 있을 문제를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은폐와 우회의 검열 기제를 작동시켰다. 본 논문에서 경우별로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그는 불교에 대한 해박한 식견과 비판적 인식을 가졌으나, 막상 처음 쓴 글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두드러지지 않는다. 일부 문집에 수록된 글에는 비판적 인식을 의식적으로 첨가했고, 때로는 전략적 판단에 의해 다른 사람을 필자로 내세우곤 했다. 그밖에 수많은 글들이 본인의 판단으로 희작이라 여겨 자기 검열의 체에 걸러졌다.다산은 그밖에도 문집에 누락된 많은 글이 따로 전해진다. 이들 글을 포함해서 자기 검열의 원리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Chung Yak-yong (1762-1836) lived in Kangjin area for 18 years as a exiles. He left many Buddhist related texts during the period. Of these, less than a quarter of the total was included in the collection. This shows that a kind of self-censorship was don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several aspects of such self-censorship.Generally speaking, self-censorship is a kind of disguise and concealment behaviors done to avoid social disadvantage, sanctions, or accusations. That aspect is the act of eliminating or correcting sentences with concerns of problems.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patterns of self-censorship of Buddhist related texts over three layers of correction, substitution, and dropout. Correction is expressed in a way of telling and concealing, and the substitution shows the desire to be revealed by hiding. And Dropout is an attitude to create that it did not act itself by eliminating completely.He could not help but be conscious of the disadvantages that his writings, which had been friendly to the Buddhism that belonged to the exclusionary value domain at that time, could bring. So he removed his writings about Buddhism from his collection. In addition, even if it is inevitable, the problematic parts are corrected. And He also borrowed the name of someone else to hide the fact that he wrote it himself. What can not be overlooked here is how self-censorship works on Buddhist texts.In terms of self-censorship,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manuscripts before censorship and after censorship together. However, it is not uncommon to see that both remain. It is because the Buddhist temples and monks kept them carefully, even though he excluded the texts he wrote about Buddhism. it is possible to look around Chung Yak-yong's self-censored face. I have excavated and organized a very large amount of Buddhism- related tests which is missing in the collection through extensive data collection work, so I was able to proceed with such work. Chung Yak-yong then wrote at the request of the then time. Then,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that may arise later, various types of concealment and detouring censorship mechanisms were activated. In this paper, we give a concrete example of each case and examined its meaning.He had a deep understanding and a critical awareness of Buddhism, but the voice of criticism does not appear conspicuously in his first writings. He intentionally added critical comments to some of the articles in the collection. And sometimes he used to be a writer, not a self, according to his strategic judgment. In addition, many of the writings he wrote were misinterpreted as self-censored as he thought it was a joke.There are many other articles written by Jung, Yak-Yong missing in the collection. There is a need to continually review the principles of self-censorship in his writings, including these article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0854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411
ISSN
1228-128X
DOI
10.30527/klcc..68.201712.00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다산 불교문자의 자기 검열.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