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2 449

명태조 『도덕경』 어주의 ‘무위’관념 연구

Title
명태조 『도덕경』 어주의 ‘무위’관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uwei’ in the Emperor Commentary 『Daodejing』 by Ming Taizu
Author
김태용
Keywords
명태조; 『도덕경』 어주; 무위; 안민(安民); 신행(身行); 대덕(大德); Ming Taizu; 『Daodejing』 emperor commentary; Wuwei; Stabilizing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Personally executing; Great virtue
Issue Date
2017-11
Publisher
한국중국학회
Citation
중국학보, v. , no. 82, page. 397-418
Abstract
명태조는 『도뎍경』을 금단(金丹) 방술(方術)의 경전이 아니라 만물의 지극한 근본, 군주의 큰 스승, 신하와 백성의 지극한 보배인 경전이라고 평가한다. 그는 『도뎍경』에서 치국(治國)의 도리를 찾기 위해서, ‘치국’의 관점에서 『도뎍경』을 직접 주해한다. 그에 따르면, 나라의 근본은 백성이기 때문에, 백성의 생활이 안정되어야만 나라의 근본이 단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군주는 백성들이 의식하지 못하게 백성의 자연본성에 따라 적극적 통치행위[有爲]를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민생안정이라는 목표를 달성해야만 ‘무위(無爲)’의 정치가 완성된다. 그는 이러한 적극적 통치행위는 정치적 목표달성 이후에도 계속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도’를 얻은 군주만이 ‘무위’의 정치를 실제적으로 행할 수 있다. ‘수도(修道)’는 ‘학도(學道)’와 ‘행도(行道)’를 포괄한다. 군주는 먼저 ‘도(道)’에 관한 앎을 날마다 축적해서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든 후, 세상에서 ’도‘를 실제적으로 행해야 한다. 그런데 ‘도’의 실현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군주의 부단한 노력이 있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도’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군주의 심신(心身)은 날마다 손상된다. 동시에, 그는 군주의 사치가 바로 민심의 이반과 민중의 반란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율신(律身)’의 덕목으로 군주의 검약을 매우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무위’ 정치의 성공여부는 군주의 인격에 달려있고, 삼황오제(三皇五帝)가 바로 ‘무위’의 정치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대덕(大德)’을 가진 군주이다. 삼황오제의 통치시대에는 민심이 순박하여 인의예지(仁義禮智)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으로 인의예악을 강조한다는 것은 그 나라의 군자가 부덕(不德)하고 그 시대가 쇠락(衰落)한 세상임을 자인하는 것이다. 군주는 백성의 주인이다. 군주가 ‘무위’의 도를 실천하지 못하면 백성에게 재앙이 생기고, 백성이 병이 들면 나라가 망한다. 이처럼 그는 ‘대덕’을 가진 군주가 백성의 자연본성에 따라 적극적 실제적 통치행위를 하고, 이를 통해 민생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무위’의 정치라고 주장한다. Ming Taizu views Daodejing as a bible of the fundamental foundation of all creation, a great mentor of a ruler, and a valuable bible of subjects and people, not as Jindan or Alchemy. In order to find the way of ruling a nation, he annotates Daodejing directly in the perspective of “ruling a nation.” From his view, the nation’s foundation could be hardened in accord with the stabilization of national life since national foundation is based on the people. Therefore, a ruler must rule a nation by positively abiding by people’s original nature secretly and unnoticeably. The stability of national life must be achieved through this step, which is to complete Wuwei politics. Ming Taizu also points out that the positive act of ruling must continue even after attaining the ruler’s political goal. Ming Taizu claims that only the rulers who gained Dao can conduct Wuwei politics practically and that cultivating Dao includes studying Dao and performing Dao. The ruler first must continue to work on the knowledge of Dao to comprehend it perfectly, and then he/she needs to perform Dao with self-assurance of understanding Dao completely. The realization of Dao, however, can be achieved not naturally but by the ruler’s constant efforts; hence, the ruler’s mind and body could deteriorate every day in the process of realizing Dao. At once, the ruler’s lavish lifestyle causes estrangement of public opinion and rebellion of people. Therefore, Ming Taizu emphasizes on ruler’s thrift as the virtue of supervising oneself. Ming Taizu insists that the success of Wuwei politics depends on the ruler’s character, and Three August Ones and Five Emperors are the rulers with great virtue and are good examples of the success of Wuwei politics. In the era of Three August Ones and Five Emperors, people did not show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because they were innocent. Focusing on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in the society shows that it is admitted that the ruler has the lack virtue, and the nation declines. The ruler is a master of people. If the ruler does not perform Dao of Wuwei, it leads people to calamity, which sickens people and makes the nation collapse eventually. In short, Ming Taizu asserts that the ruler with great virtue rules the nation by positively according to the original nature of people, and through this, the stabilization of national life is erected: this is the Wuwei politic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71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066
ISSN
1226-850x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PHILOSOPHY(철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명태조 『도덕경』 어주의 ‘무위’관념 연구.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