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5 0

경기 남부 내륙 구석기유적의 연구-진위천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Title
경기 남부 내륙 구석기유적의 연구-진위천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leolithic Sites in Southern Inland Area, Gyeonggi-do
Author
이정철
Keywords
경기 남부; 구석기; 유적 변형; 지질고고학; 구석기공작; 석영제 돌감; Gyeonggi-do; Paleolithic; sites transform; geoarchaeology; Stone Insdustry; Quartz
Issue Date
2017-08
Publisher
백산학회
Citation
백산학보, no. 108, page. 29-58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 남부 내륙의 구석기유적을 대상으로 지형·지질학적 분석과 석기공작의 분석과 해석을 통하여, 이 지역 구석기공작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구석기유적은 상당수가 산록완사면의 말단에 집중되며, 토양·퇴적물의 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유적 내에는 사면퇴적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질의 퇴적물과 그 위로 풍성기원 등에 의한 점토성의 퇴적물이 확인된다. 구석기 유물은 이러한 퇴적물 내에서 확인되는데, 사면퇴적물 내의 유물층에서 변형이 크다. 대체적으로 사질의 퇴적물은 MIS 3기, 점토성 퇴적물은 MIS 3기 후반에서 MIS 2기에 걸쳐 형성되었다.유물이 포함된 퇴적층은 토양·퇴적물의 구조 및 입도, 색조, 절대연대 등으로 5개의 군으로 구분된다. ①, ②유물층군은 변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안정적인 층 내에 위치하며, ③, ④유물층군이 속한 퇴적층은 변형과 안정의 양상이 모두 나타난다. 한편 ⑤유물층군이 속한 퇴적층은 변형이 뚜렷하다.석기공작의 분석과 해석에서는 우선 각 유물층군 내 유적의 석기 공간 분포와 구성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유적 변형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오산리와 청계리, 천리 유적을 제외한 모든 유적에서 변형이 나타난다. 따라서 유적 변형이 나타나는 곳을 제외한 ①, ②, ③유물층군에 해당되는 오산리와 청계리 유적의 주먹도끼, 찍개와 긁개에 대해서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지역 구석기공작의 단편적인 성격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석영제 돌감의 강도와 형태가 다듬은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라는 점을 파악하였다.경기 남부 내륙의 구석기유적에 대한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하여, 다수의 유적에서 변형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 지역에서 구석기공작의 해석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석기유적의 시간적 범주를 고려한 연구는 유적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stone industry in the Paleolithic sites of the southern inland area of ​​Gyeonggi-do through geoarchaeological methods.Many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is area are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piedmont slope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oil and sediments. Within the sites, sandy deposits formed in MIS 3 showing the aspect of colluvium and clay deposits of aeolian accumulated from latter part of MIS 3 to former part of MIS 2 are identified. Paleolithic artifacts are identified in these sediments. Artifact layers within slope deposits are largely transformed.Artifact layers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by structure, granularity, soil and sediments, color, and absolute date. The 1st and 2nd artifact layer groups are generally stable, and the 3rd and 4th artifact layer groups are both transformed and stable. In the 5th artifact layers group, sites transformation is clearly identified.The aspect of additional sites transformation,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stone assemblage in each artifact layers group was indentified. As a result, site of Osan-ri, Cheonggye-ri and Cheon-ri was stable. By analyzing the hand-axes, chopper- chopping tools and scrapers of Osan-ri and Cheonggye-ri that correspond to the ①, ② and ③ artifact layers group, It’s found fragmentary patterns of stone industry in this area are that strength and form of quartz are key factor that determine the technologic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627863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5086
ISSN
1225-7109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