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1 900

근린환경특성이 사회적 자본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행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itle
근린환경특성이 사회적 자본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행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Level of the Social Capital: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Walking Activity
Author
이수기
Keywords
사회적 자본; 근린환경; 보행활동; 일상보행; 여가보행; 구조방정식; Social Capital; Neighborhood Environment; Walking Activity; Utilitarian Walking; Leisure Walk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 Date
2017-08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Citation
국토계획, v. 52, no. 4, page. 111-133
Abstract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방안으로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근린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이증가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보행친화적인 근린환경은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는 보행친화적인 환경에서촉진된 보행활동을 통하여 이웃들 사이에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이 높아질 수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근린환경이 주민의 보행활동을 통해 실제 사회적 자본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미흡하다. 또한, 보행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 및 간접적으로 유의미한지에 대한 분석도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따라서 본 연구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보행활동을 통해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나아가, 근린환경과 사회적자본 사이에서 보행활동이 가지고 있는 매개효과를 일상보행과 여가보행으로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하고 근린의 사회적 자본 증대를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activities on the level of social capital in Seoul, Korea. Social capital, which consists of trust, network,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could be formed through daily interactions among residents. In addition, neighborhood-level social capit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urban regenerat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walking activity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using the survey data of 2,500 residents in Seoul. The survey includes the respondents' social environment, perceived physical environment and walking activity. This study also considers objectively measured neighborhoo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 including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accessibility to park and river as well as objectively measured built environment are associated with walking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s of walking activity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URI
http://kpaj.or.kr/_common/do.php?a=full&bidx=853&aidx=1134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5054
ISSN
1226-7147; 2383-9171
DOI
10.17208/jkpa.2017.08.52.4.11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근린환경특성이 사회적 자본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행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