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5 0

출산력과 연령으로 그룹화한 유방암 환자에서 비만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Title
출산력과 연령으로 그룹화한 유방암 환자에서 비만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Obesity on Survival Rate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 of Breast Cancer Patients sub-classified according to Reproductive History and Age
Author
황선영
Keywords
Age; Breast Cancer; Disease-free Survival Rate; Obesity; Reproductive History; Survival Rate
Issue Date
2017-04
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Citation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 18, no. 3, page. 105-114
Abstract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출산력과 연령으로 그룹화한 후 비만에 따른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을 비교분석하여, 비만 여부가 유방암 환자의 예후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서울 일개 종합병원에 유방암으로 내원한 4181명의 환자였으며 2015년 5월 30일까지 생존여부와 재발여부를 추적 조사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연구결과 전체 환자에 대해 출산경험이 없는 환자군이 출산경험이 있는 환자군보다 생존율이 낮았고(p=.000), 나이가 40세 미만인 환자군이 40세 이상인 환자군보다 생존율(p=.003)과 무병생존율(p=.000)이 낮았으나, 비만 여부에 따른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출산력이나 연령을 기준으로 대상자를 그룹화한 후 분석한 결과 비만이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집단이 확인되었다. 출산력을 기준으로 분류한 환자군에 대해, 출산력이 있는 환자군 내에서 비만 환자의 생존율(p=.001)이나 무병생존율(p=.005)이 비비만 환자보다 낮았다. 연령을 기준으로 분류한 환자군에 대해서도, 나이가 40세 이상인 환자군 내에서 비만 환자의 생존율(p=.005)이나 무병생존율(p=.014)이 비비만 환자보다 낮았다. 연구대상자를 출산력이 있으면서 동시에 연령이 40세 이상인 환자들로 한정한 환자군 내에서도 비만 환자의 생존율(p=.000)이나 무병생존율(p=.003)이 비비만 환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방암 환자 전체에 대해서는 비만이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출산력과 연령을 기준으로 그룹화한 후 하위집단 내에서 비교했을 때는 비만과 예후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힘들었던 내용이므로 비만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유방암 환자 하위집단에 대해 적절한 간호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besity at diagnosis on the prognosis of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ir reproductive history and age by comparing the overall survival rate (OS)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 (DF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4181 breast cancer cases at one of the medical centers in Korea during the 3 year period from 2006 to 2008. We confirmed the levels of death and recurrence through a follow-up study completed in May 30. 2015. In conclusion, the parous patients had a lower OS than the non-parous patients (p=.000), and the younger patients below 40 years old had a lower OS and DFS than those who were 40 years old or older (p=.003, p=.000), while obesity did not affect the OS and DFS significantly. However, several subgroups in which obesity affected the OS and DFS were found after classifying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ir reproductive history and age. For the subgroups classified by reproductive history, the obese patients had a lower OS and DFS than the non-obese patients in the subgroup in which the patients have a reproductive history (p=.001, p=.005). For the sub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age, the obese patients had a lower OS and DFS than the non-obese patients in the subgroup in which the patients were 40 years old or older (p=.005, p=.014). Obesity affected the OS and DFS in the subgroup in which the patients were 40 years old or older and had a reproductive history (p=.000, p=.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besity has an effect on the prognosi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the subgroups classified by reproductive history and age, whereas it has no effect on the OS and DFS of the patients when they are examined in their entirety. It also suggests that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for the subgroups in which obesity has effects on prognosis.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714563379841.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3568
ISSN
1975-4701; 2288-4688
DOI
10.5762/KAIS.2017.18.3.10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URSING[S](간호학부) > NURSING(간호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