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6 319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의 STEAM교육 이해도 및 인식현황

Title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의 STEAM교육 이해도 및 인식현황
Other Titles
The Present Status for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TEAM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of Engineering System
Author
현은령
Keywords
STEAM; Engineering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Issue Date
2017-03
Publisher
한국공학교육학회
Citation
공학교육연구, v. 20, no. 2, page. 3-8
Abstract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융합과 혁신의 빠른 변화 속에서발전하는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운영된 ‘STEAM 예비교사지원센터’사업의 일환인 ‘2016년 대학생과 함께 하는STEAM교육’에 참여한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STEAM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인식의 변화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들은 프로그램 실시 후 STEAM교육에 대한 이해도 및 공감도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 전공계열과 비교해보면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들은 사전 인식도나 만족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현은령(2013)의 연구에서와 같이일반적으로 이공계열 학생들이 타인의 생각이나 내적인 심상을 파악하는 것과 기존에 없던 사실에 대한 상상이나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것은 약한 사고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또한 초중등학생들을 상대로 대면교육 할 수 있는 기회가 타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교육활동에 대한 부담감이 컸던것도 그 이유가 된다. 하지만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들은참여했던 STEAM교육이 기존의 교육보다 미래지향적이라는것을 인식하고 관련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여하겠다는 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현장교사의 협의정도에 따라 STEAM에 대한 이해도와 인식도가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STEAM교육활동지원이 제공되어야 함을의미한다.STEAM교육의 중심에는 ‘융합’이 있다. 이때의 융합은 사고의 융합뿐만 아니라 교사 간 협력의 융합을 포함한다. 현재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STEAM실행의 가장 큰 어려움은 융합에 대한 수동적 태도이다. 특히 중・고등 단계로 올라갈수록 분과주의에 기반 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그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의 STEAM교육 참여는 자신의 전공영역이 타 영역에 어떻게 융합되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직접 경험하게 하여 보다 더 적극적인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 및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일선 학교현장에서의 STEAM 확산에 대한 노력과 함께 공학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교육에 있어서도STEAM교육 실행과 경험의 기회를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때이다.This study examined a difference in a change of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n STEAM Educa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STEAM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of engineering system who took part in ‘STEAM Education of being made together with undergraduates for 2016' as part of the project for a center of supporting STEAM pre-service teachers.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of engineering system could be confirmed to have been improved the understanding and sympathy level with STEAM education as a whole follow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Comparing it with other majoring system,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of engineering system were shown to be a little low in pre-perception or satisfaction, but were indicated later to have high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STEAM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of engineering system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EAM education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but are feeling pressure abou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ccordingly, it is time that there is a need to have a system of officially providing the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and an opportunity of experience in the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aiming at the engineering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21514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3062
ISSN
1738-6454
DOI
10.18108/jeer.2017.20.2.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의 STEAM교육 이해도 및 인식현황.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