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규현-
dc.date.accessioned2019-11-20T12:00:49Z-
dc.date.available2019-11-20T12:00:49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citationPROCEEDINGS OF HCI KOREA 2017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age. 771-774en_US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view/ar_view.asp?arid=318343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2807-
dc.description.abstract의료업계는 정보통신기술과 융합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환경은 환자의 안전한 입원생활 뿐 아니라 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에도 도움을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 종사자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환경을 구성하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표를 구성한 후 일반병원과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지표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안전성, 공조환경, 기능성, 사회성, 기술성의 다섯 가지 지표로 정리되었다.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환경지표는 안전성, 사회성, 기술성, 공조환경, 기능성순이라고 답한 반면, 일반병원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기술성, 안전성, 기능성, 공조환경, 사회성 순이라고 답했다.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서비스환경에 익숙하게 적응되어 있어 이에 대한 요구보다는 환자의 안전(안전성),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사회성)에 대한 중요도가 더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응답자 모두 공통적으로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료종사자가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지표와 중요성을 환기할 수 있었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서수행된 연구 결과이다(과제명: 포괄적 간호 제도에활용 가능한 간호 간병 로봇 시스템 개발 10052358).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HCI학회en_US
dc.subject스마트헬스케어 환경en_US
dc.subject의료환경 평가en_US
dc.subject헬스스케이프en_US
dc.subjectHealthscapeen_US
dc.subjectEvaluation Indicatorsen_US
dc.subjectNursing Performanceen_US
dc.title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Advanced Healthscape for increasing Nursing Performance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page771-774-
dc.contributor.googleauthor한지은-
dc.contributor.googleauthor권규현-
dc.contributor.googleauthorHan, ji eun-
dc.contributor.googleauthorKwon, gyu hy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 INNOVATION MANAGEMENT[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TECHNOLOGY MANAGEMENT-
dc.identifier.pidghkw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