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9 4890

방과후학교의 실태와 문제점 및 발전방안

Title
방과후학교의 실태와 문제점 및 발전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After-School
Author
정영모
Keywords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정책; 방과후학교 활성화; 사교육비; 수요자 중심 교육; after-school; after-school policy; vitalization of after-school; cost of private education; user-centered education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Citation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 7, no. 2, page. 855-864
Abstract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의 정책적 변화와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습자와 수요자 중심의 현장 의견을 조사하여 방과후학교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방과후학교의 출발점으로 볼 수 있는 5·31 교육개혁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부의 방과후학교 주요 정책을 분석하고, 정책 결과 보고서와 보도자료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검색을 통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에서는 그동안 방과후학교를 사교육비 경감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학계에서는 방과후학교의 효과성과 활성화 방안에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학교 현장에서는 방과후학교 운영결과 파생된 다양한 문제와 해결방안에 관심이 있었다. 단위학교 교원의 경우 효과적인 정규교육과정 보완 방안과 교원 업무 정상화에 관심이 있었으며, 강사의 경우 불안한 신분과 처우문제 개선 등에 관심이 높았다. 단위학교 교원과 방과후학교 강사가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문제점은 방과후학교가 공급자 위주의 정책수단으로 왜곡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방과후학교는 표면적으로 볼 때 높은 참여율과 만족도, 사교육비 경감효과 등을 보이고 있지만 법제화 되지 못하고 공급자 중심의 정책사업으로 추진되면서 한계점을 노출하는 제도적 위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현장 학교와 지역의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고, 방과후학교 관련법을 제정해야 함을 제안하였다.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policy change and study trends for after-school and research the learner and user-centered opinions to search for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after-school. For this study, the main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after-school policies with the 5.31 educational reform as the start point of the after-school policies and until now have been reviewed. Also, study trends have been analyzed through search into the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rough this, it could be known that there is trend of perceiving the after-school as a vehicle to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cost and that academia is interested in the effectiveness and vitalization scheme for after-school. In comparison with this, school were interested in the various problems derived from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and solving schemes. In case of the teachers in unit schools, they were interested in effectiv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supplementation scheme and normalization of the teacher's tasks and in case of the instructors, they were highly interested in improvement of the way they are wages and the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The problem that the teachers from unit schools and after-school proposed in common was the after-school policies are distorted as a provider-centered policy vehicle and the fundamental solving scheme for this lacks. Through this result, to see superficially, there are many good aspects such as high participation rate and satisfaction level and reduction effect of cost of private education, but have been promoted as the provider-centered policy and since they have not been legislated, schools are experiencing systematic crisis which exposes limitations. This study emphasizes freedom and responsibility of the regions and on-site schools and suggests that After-School related Law should be enacted.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793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2644
ISSN
2383-5281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INSTITUTE FOR EDUCATIONAL RESEARCH(한국교육문제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방과후학교의 실태와 문제점 및 발전방안.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