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5 0

루게릭병 환자의 질병 진행 정도와 식사염증지수 간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루게릭병 환자의 질병 진행 정도와 식사염증지수 간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flammatory index and disease progression of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uthor
김지영
Alternative Author(s)
Kim, Ji Young
Advisor(s)
박용순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은 진행 속도가 빠른 치명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ALS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발병 기전에 염증이 관련되어 있어 항염증성 식이 요인은 ALS의 진행 및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사염증지수(Dietary inflammatory index, DII)는 식사 내 잠재된 염증을 분석하여 질병 진행에 식이 요인과 염증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지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K-ALSFRS-R(Korean version of ALS Functional Rating Scale-Revised)의 점수 변화를 증상 발현일로부터 식이 조사 시점까지의 질병 기간으로 나눈 값인 질환 진행도(Progression rate of ALS, △FS)에 따라 식사염증지수가 ALS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EI Escorial criteria of World Federation of Neurology의 진단기준에 의해 ALS로 확진 받은 504명의 환자 중 ALS의 증상이 발현된 지 2년 이내에 식이 조사를 받은 환자를 대상자로 하였다. 식이 조사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고, 식사염증지수는 33개의 영양소 및 식품을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선정된 224명의 ALS 환자는 질환 진행도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중위수보다 빠른 군(Rapid group, n=122, △FS>0.60)과 느린 군(Slow group, n=122, △FS≤0.60)으로 분류하였다.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비타민 A(P=0.005), 베타카로틴(P=0.006), 엽산(P=0.002), 철(P=0.014), 마늘(P=0.006)의 섭취가 질병 진행이 빠른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식사염증지수가 ALS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사염증지수가 증가할수록 ALS의 진행 속도가 빨라지는 위험이 증가하였다. 또한, ALS의 예후 인자를 나누어 식사염증지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질병 진행이 빠른 군에서 발병 연령이 55세 이상이거나 체질량 지수가 25 kg/m2 미만이거나 강제폐활량이 85% 미만인 환자가 많았고, 이러한 예후 인자에서 식사염증지수가 증가할수록 ALS 진행의 속도가 빨라지는 위험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ALS의 진행에 비타민 A, 베타카로틴, 엽산, 철, 마늘의 섭취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식사염증지수가 높은 염증성 식사를 할수록 ALS의 진행이 빨라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ALS 환자들에게 항염증성 식이 섭취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사염증지수는 ALS의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발병 연령이 높거나, 체질량 지수가 낮거나, 강제폐활량이 낮은 경우의 예후 인자를 가진 환자에게서 ALS의 진행 속도와 양의 상관성이 나타나 이러한 예후 인자에 해당되는 환자에게서 염증성 식사는 ALS의 진행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를 오랜 기간 추적하여 ALS의 진행에 식사염증지수가 미치는 영향을 다시 한번 검증할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a fatal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ease, has been suggested to have an association with inflammation, and thus anti-inflammatory dietary factors may influence progression or pathogenesis of ALS. Dietary inflammatory index (DII), a new tool for assessing the inflammatory potential of the diet has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various diseas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DII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isk of ALS progression. ALS patients who diagnosed according to EI Escorial criteria were recruited during 2011-2018, and dietary intake was estimated using the 24-hour recall. DII score was calculated using 33 foods/nutrients, and progression rate of ALS (△FS) was estimated from the decline in the K-ALSFRS-R score after the first symptom onset. AL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median of △FS (rapid group, n=112, △FS>0.60; slow group, n=112, △FS≤0.60). Intakes of vitamin A (P=0.005), beta-carotene (P=0.006), folate (P=0.002), iron (P=0.014), and garlic (P=0.006)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in the rapid group. The DI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in the rapid group, and as the DII increased, the risk of ALS progression increased. In addition, the DII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LS progression according to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disease progression, such as >55 years onset age, body mass index <25 kg/m2, and forced vital capacity <85%.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intake of vitamin A, beta-carotene, folate, iron, and garlic was associated with the progress of ALS, and anti-inflammatory diets could decrease the risk of progression in ALS patients, particularly with prognostic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disease progression. However, larg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 of DII on the progression of AL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8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0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