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7 0

영유아 대상 유튜브 키즈 콘텐츠의 재미요소에 관한 연구

Title
영유아 대상 유튜브 키즈 콘텐츠의 재미요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un Elements of YouTube Kids Contents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Author
김예진
Alternative Author(s)
Kim Ye-jin
Advisor(s)
김치호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스마트기기의 편리성에 따라 영유아는 소비자로서 콘텐츠를 선택하고 있으며, 유튜브를 놀이와 학습으로서 즐기고 있다. 본 연구는 인기를 끄는 유튜브 키즈 콘텐츠들은 영유아의 특정 발달 단계에 집중하여 재미요소를 다르게 활용하였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왜 재미있는 놀이를 추구하는지를 확인하고, 유튜브 키즈 콘텐츠의 재미요소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키즈 콘텐츠를 발달 단계에 따라 세분화하여, 재미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유아의 발달 단계 중 ‘감각운동기 단계’에 집중한 콘텐츠들은 1)밝은 색의 색채를 다양하게 사용, 2)캐릭터의 단순화와 배경의 불필요한 요소 삭제, 3)일관성 있는 화면 전개 속도, 4)반복적인 장면 연출, 5)청각을 자극하는 소리를 재미요소로 활용하였다. ‘전개념적 사고기 단계’에 집중한 콘텐츠들은 1)소수의 캐릭터나 출연자가 등장, 2)유아를 닮은 캐릭터, 3)신체의 적극적인 활용, 4)입체적인 효과, 5)명확한 대사 전달과 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표현, 6)빠르고 경쾌한 음악과 효과음 활용, 7)밝고 행복한 정서의 사건이 있는 스토리, 8)유머를 사용하기 시작을 활용하였다. ‘직관적 사고기 단계’에 집중한 콘텐츠들은 1)산만하고 복잡한 화면 구성, 2)현실감 있는 표현의 대사, 3)복잡해진 스토리 구성과 입체적인 인물의 캐릭터, 4)유머의 발달, 5)미션과 벌칙 수행, 6)집단 놀이 진행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키즈 콘텐츠의 최근 변화 양상에서 한계점을 발견하고, 그에 따른 발전전략으로 1)전략적인 콘텐츠 제작의 필요, 2)새로운 재미요소 활용, 3)MCN을 통한 전문적인 제작과 수익의 다각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 키즈 콘텐츠를 영유아의 발달 단계에 따라 세분화하여 재미요소를 살펴본 초기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키즈 콘텐츠의 일부 편수만을 분석하였고, 실제 영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콘텐츠의 재미요소를 실증적으로 증명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 살펴본 재미요소에 대한 실증 분석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increase of convenience of smart device services, toddlers and preschoolers are choosing the contents as consumers. They are enjoying YouTube as the recreation as well as the learn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popular YouTube Kids contents by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according to different fun elements. Accordingly, the study has determin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and why they pursued fun games, and presented a framework for analysis on fun elements of YouTube Kids contents. The fun elements were analyzed by subdividing the Kids contents by developmental stage. The analysis showed the contents that focused on 'sensorimotor stage', among developmental stages of toddlers and preschoolers,utilized 1)Use of bright colors, 2)Simplification of characters and removal of unnecessary elements, 3)Consistent speed of scene development, 4)Repetitive scenes, and 5)Sounds that stimulate ears. The contents that focused on 'preconceptual thinking stage' utilized 1)Minimal number of characters or actors, 2)Toddlers & Preschoolers-like characters, 3)Active usage of body, 4)Three-dimensional effect, 5)Clear delivery of dialogues and Toddlers & Preschoolers-level expressions, 6)Fast and rhythmical music and sound effect, 7)Bright, happy story, and 8) Humor. The contents for 'intuitive thinking stage' utilized 1)Distracting and complicated screen composition, 2)Realistic expression, 3)Complicated story composition and three-dimensional characters, 4)Development of humor, 5)Fulfillment of mission and penalty, and 6)Group play. Through the analysis, the limitations in the patterns of recent changes in Kids contents were discovered, and the followings are proposed as its developmental strategy: 1)Need for creation of strategic contents, 2)Utilization of new fun elements, and 3)Diversification of profits and professional production through MCN. The study has significance for being the initial study that examined fun elements by subdividing YouTube Kids contents into developmental stage. However, the study faces limitations as only a part of Kids contents was analyzed and fun elements of the contents that toddlers and preschoolers actually recognize were not empirically proven.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empirical analysis of fun elements examined in this study i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8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2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