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7 0

확산적·수렴적 사고기법 유형을 통한 디자인 문제해결 향상 연구

Title
확산적·수렴적 사고기법 유형을 통한 디자인 문제해결 향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sign Problem Solving through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Techniques - Focused on Visual Design Major -
Author
이정현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Hyun
Advisor(s)
송지성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창의와 융·복합 기반인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은 변화되고 있다.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명칭의 디자인 유형이 생겨나고 혼자서 해결이 가능했던 디자인 과정도 이제는 다른 전공 분야와의 협동 및 협업이 필수적이게 되었다. 오늘날 디자인은 지식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가치를 반영하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회 변화에 따른 맞춤형 인재가 필요한 시점이며, 복잡하고 어려운 사회 전반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처럼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지식과 정보는 디자인 과정에서 문제 상황에서 적절하게 변형하고 적용하는 요소로써 작용한다. 독창적이고 창의적 관점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갖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재조직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로 만들어 내는 문제해결 과정이 더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시각디자인 교육 시스템으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다. 특히 전문대학의 경우에는 교육 기간과 졸업 후의 목표가 4년제 대학의 학생들과는 다르기 때문에 결과 위주의 교육 방식으로는 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운 것이다. 학생들은 디자인에 있어서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기준이 모호한 점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경험에 의한 아이디어의 발상은 자연스러우나 경험하지 못하거나 이상적인 상상력에 의해 아이디어를 발현하는 것은 틀린 것이라 생각하거나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소셜 네트워크(SNS)의 정보화 시대에서 얻어지는 많은 양의 완성된 디자인의 결과물을 마치 정답인 것처럼 인식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도 포함하고 있다. 이제는 전문대학도 과정위주의 교육이 필요하며 자기주도 학습에 있어 독립적이지만 타 분야와도 협업이 가능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시각디자인 교육은 문제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학습 및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문대학의 경우 졸업 후의 목표가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대학생활을 한다면 더욱 결과 중심의 학습 보다는 문제해결 중심의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져야 한다. 시각디자인 전공은 직무와 연결했을 때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교과목을 이수하고 많은 양의 과제물을 소화하기 위해 시간을 쏟고 정작 중요한 것에 집중하지 못한다면 비효율적인 학습 과정이 될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관점에서의 많은 결과물을 도출하는 방법은 잘못된 것은 아니다. 단지 과정에 대한 이해와 과정 안에서 발견되는 아이디어를 자신만의 결과물로 만드는 것이 현 시대의 디자인 기초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시대의 흐름이 원하는 디자인 결과물을 위해서는 디자인 문제해결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에 있어 디자인 응용력과 아이디어 표현력을 위해서는 디자인의 통합적 사고력이 필요하다. 통합적 사고는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인 사고를 말하는 것인데 한쪽으로만 치우치는 사고가 아니라 자유자재로 생각을 넘나들 수 있는 사고를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적 사고를 중요한 요소로 보고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학생들이 디자인 문제해결에 있어 생기는 고민들을 교육 현장에서 보고 느끼며 DPS(Design Problem Solving)라 불리는 디자인 문제해결 모델을 제안하게 되었다. 모델 개발의 목표는 학생들이 디자인 문제해결 교육 모델을 통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수렴하는 작업을 쉽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자기주도 학습에 있어 응용성, 독창성, 정교성에도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문제해결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연구의 대상으로는 전문대학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 중 DPS 교육 모델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학기, 2학기로 구분하여 약 1년간의 학생들의 학습자 만족도, 자기효능감, 아이디어 표현, 발표력이 CPSS 디자인 평가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DPS(Design Problem Solving)교육 모델의 프로세스는 6단계로 이루어지며 CPS의 창의적 문제해결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디자인 문제해결의 단계는 아이디어 표현 및 마무리의 디자인 전체를 포괄하는 과정을 말한다. DPS 교육 모델의 프로세스는 ① 문제발견(문제정의 및 문제해석) ② 아이디어 발견 ③ 해결책 발견 ④ 수용안 발견 ⑤ 아이디어 구체화 ⑥ 아이디어 표현력의 순서로 디자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며, 창의적 문제해결과는 단계와 요소간의 차이가 있다. DPS 교육 모델에 있어 아이디어 발견 및 수용하는 단계에서 활용될 확산·수렴의 통합적 사고기법은 세 가지 유형이며 M-HL법, M-SP법, M-AFKP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교육 유형의 개발은 학생들의 닫혀있던 사고를 확장시키고 최적의 아이디어로 끌어내는데 있다.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기법의 항목을 제시하고 주어진 문제에서 자기 주도적인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교육 유형의 실험결과 아이디어를 나열하고 수렴하는 확산과 수렴의 통합된 학습은 학습자의 만족도를 비롯하여 자기효능감, 아이디어 표현, 발표력에 있어 독창성, 응용성, 정교성의 디자인 평가요소에서도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실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문대학의 경우에도 결과물 위주의 수업이 아닌 디자인의 문제해결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제한된 시간과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모든 학생들이 같은 교육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문제점은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확산·수렴의 통합된 사고기법 유형을 제안한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은 일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주제를 통하여 주어진 형식 안에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에 대한 방법을 통해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이끌어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향후 다른 전공분야와의 협업에 있어 자연스럽게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고 자기주도 학습 효과에 있어 DPS 교육 모델이 교육자와 학생들에게 적용되어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based on creativity, fusion, and combination, the role of design and designers is changing. A new type of design that has not existed begins to spring up, the design process that used to be done alone, now requires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major fields. We as a society now demands a creative and original design that reflects the diverse values a knowledge society require. As such,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creative talents who could provide tailored answers to the overarching social problems that are often complex and difficult. It is becaus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plays such an important rol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When problems arise in the design process, knowledge and information act as an appropriate modifier and application factor. In finding ways to solve problems more creatively, the problem-solving process has a significant importance to tur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o new ideas. However, the existing visual design education systems pose a myriad of challenges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s whose duration of education and the goal after gradu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4-year college students, the graduates struggles to adapt to the society because the education system is the result-oriented. The ambiguous standards for creative ideas in design are challenging for these students. Also, most students found that an idea based on experience was natural, but an idea by ideal imagination but without experience was wrong to express. This includes problems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results of a large amount of completed designs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age of social networks (SNS) as if they are correct answers. It is time for Junior colleges to develop course-oriented education, and to cultivate tailored talents that are independent of self-directed learning but can collaborate with other fields. Therefore, future visual design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s, if the goal is set after the graduation, the focus of the education should be placed on problem-solving and learning rather than result-oriented learning. The visual design major can lead into various fields when connected with the job. It would be an inefficient learning process, if students can hardly concentrate on what is important because they have to spend time to complete all the courses, digest a lot of assignments. However, it is not wrong to derive many result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basic design education of today’s world should be the one that education students to learn how to turn ideas into their own result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other words, design problem solving ability becomes important for the design result desired by the trend of the times. In addi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designers’ integrated thinking ability is necessary for design application ability and idea expression ability. Integrative thinking refers to diffuse and convergent thinking, not just one - sided thinking, but an idea that can move freely. This study considers this integrated thinking as an important factor and hence investigated the direction of design’s application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of solving design problems in the educational field, students proposed a design problem-solving model called DPS (Design Problem Solving). The goal of the model development is to allow students to easily understand and learn the idea of designing and converging ideas freely through the design problem solving education model, and also to help applicability, originality, and sophistication in self-directed learning. To verify the design problem-solving model,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study were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using the DPS education model among the visual design students majoring in the colleg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first semester and the second semester and the learner satisfaction, self-efficacy, idea expressions, and presentations on the CPSS design evaluation attributes were derived using quantitative methods. The process of the DPS (Design Problem Solving) education model consists of six stages and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on CPS’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process of design problem solving is a process that covers the whole design of expression and finishing of ideas. The process of DPS education model is ① process of problem finding (problem definition and problem interpretation) ② idea discovery ③ finding solutions ④ finding acc eptance ideas ⑤ idea conceptualization ⑥ process of solving design problem in the order of idea express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steps and element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 DPS education model, there are three types of integrated thinking methods of diffusion and convergence that will be used at the stage of finding and accepting ideas, classified into M-HL method, M-SP method and M-AFKP method. The development of this type of education is to open up the students' closed minds and help them discover best possible ideas. It is to suggest the items of thinking technique for problem solving and to repeat the practice of solving problems through self-directed method in given proble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education type, the integrated learning of diffusion and convergence that list and converge ideas showed effective results in design evaluation factors of creativity, applicability, and elaboration in self-efficacy, idea expression, and presentation power as well as learner satisfaction. As the experiment result signifies, the junior college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design rather than on the result oriented education. The one size fits all teaching method which was developed due to the limited time and other constraints, should now change. Here we suggest an integrated thinking method of diffusion and convergence as an answer. These three types focused on bringing their own ideas freely through the methods of diffusive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in a given form through observable subjects in everyday life. It is our hope that the DPS education model could be widely used both by educators and students in the future and therefore serve to nurture future talents that can naturally solve problem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major fields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5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