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5 0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 교육 연구

Title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Rebuttal-based Argumentative Writing
Author
문선희
Alternative Author(s)
Moon, Sun Hee
Advisor(s)
이삼형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고는 다양한 가치로 인해 혼란스러운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인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합리적 의사소통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논증적 쓰기를, 그중에서도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논증 이론과 논증 교육 이론을 살피고 반론의 개념과 조건, 반론이 가지는 기능을 정리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는 기존의 논증적 쓰기와 달리 상대방의 주장에서 정당하지 못한 부분을 찾아 반박을 하면서 쓰기를 시작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학생들이 입론과 같이 토대가 하나도 없는 글쓰기에서 보다 상대 주장의 허점을 찾아 반박을 하면서 논리를 펼치는 연습을 통해 글을 쓴다면 보다 논리적인 글쓰기에 쉽게 입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토대로 학생들의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토론 이론과 정책논제의 필수 쟁점 이론, 정당화 이론 등을 참고 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먼저 필자가 상대방의 의견 중에 정당하지 못하고 느끼는 영역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반박의 영역과 간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궁극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영역으로 반론이 구성됨을 밝히었다. 학생들이 반박을 시작하는 지점을 논증 구성 요소의 특정한 어느 것으로 지정하지 않고 구성요소들이 만들어내는. 논증이 가지고 있는 정당성에서 부족한 부분에 두기로 하였다. ARS이론을 활용하여 수용가능성, 관련성, 충분성을 큰 범주로 두고 정당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어디인지 찾아서 반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정당하지 못한 부분’이 포함된 글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연구자가 만들어 놓은 ‘정당하지 못한 부분’을 모두 찾아내어 반박하지 못했으며, 특히 이해가능성이나 논리성과 같은 부분은 반박의 지점으로 선택하지 않았다. 반박은 원래 전략적으로 자신이 성공할 수 있는 부분을 공격하여 수행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학생들이 선택하지 못한 반박의 원인들은 단순한 전략적인 선택이라기보다는 해당 근거가 어느 부분에서 정당하지 못했는지를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반론을 잘 하기 위해서는 상대 주장에서 어떤 점이 정당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학생들이 선택한 반박의 지점에서 다양한 전략을 펼치며 반론을 전개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그 반론의 정당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상대방의 의견 중에 정당하지 못하다고 느낀 부분과 부족한 정당성을 찾아 이와 반론을 펼치는 전략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반론을 전개하는 세부적인 전략은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류하여 세세하게 하나하나 이름을 짓기 보다는 정책 논제 토론에서 필수쟁점이 다뤄야 할 사안의 심각성, 해결성, 내재성을 중심으로 연역적으로 정리하여 체계를 갖추고자 하였다. 본고는 논증적 글쓰기의 관점에서 논증을 어떻게 국어교육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논증적 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보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반론’을 중심으로 상대방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정당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반박을 전개하며 논리를 구성해가는 글쓰기 교육 방안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반론은 입론보다 논증적 관점에서 보면 더욱 주장에 가깝다고 하며 반론 중심의 논증적 글쓰기를 강조하는 관점에 대해서 그렇다면 ‘입론’은 무슨 교육적 쓸모가 있느냐는 질문을 할 수 있다. 반론과 입론은 논증적 관점에서 본다면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지만 토론을 진행하면서 수행하는 역할에서 큰 차이가 있다. 입론은 입증의 책임이 있고, 반론은 그것이 없다. 이를 글쓰기에 적용한다면, 아무런 기반도 토대도 없는 가운데 무엇인가 정당한 명제를 만들어 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입론적 글쓰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입론은 무(無)의 상태에서 어떠한 상태 변화가 정당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증명하고 정당화해야한다. 이런 글쓰기는 입문자에게는 어렵다. 반면에 반론 중심의 쓰기는 상대방의 주장 가운데 정당하지 못한 부분을 찾아내고, 그것을 반박하여 논리를 세우는 연습을 하며 진행된다. 상대가 정당하지 않다는 것을 선택적으로 증명하면 되니, 입론보다는 부담이 덜하다. 글쓰기에서도 마찬가지다.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는 논증적 쓰기로 입문을 하는 필자들을 위해 필요한 기초 단계가 될 것이다.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는 본격적인 논증적 글쓰기로 나아가기 위한 예비단계가 되는 것이다. 충분히 익히고 나서는 입론을 펼치는 것처럼 반론 중심의 논증적 쓰기 단계를 통해 연습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의 논증적 쓰기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use of argumentative writing as a way to develop reasonable communicative competence needed to live as a citizen, a member of a community in a confused contemporary society. To this end, we examine the theory of argumentation and the theory of argumentation education and summarize the concept, condition, and counter - argument of counter - argument. In the theoretical review,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reac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unlike conventional argumentative writing, writing will start by refusing to find the unfair part of the other party's arguments. , And that it would be easier to enter into logical writing by writing through the practice of exploring logic while refusing to find loopholes in the relative argument. Based on these assumptions, we constructed an analytical framework by referring to the discussion theories, the essential issue theories of policy issues, and the justification theories in order to grasp the argumentative writing patterns of students. First, I found out that the opposition is constituted as the area that contributes indirectly to the field of refutation which directly reacts to the unfair feelings of the other party's opinions,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his position. The point at which students initiate refutation is not assigned to any specific part of the argumentative component, I decided to place it in the lack of legitimacy of argument. Using the ARS theory, we presented articles containing "unfair parts" to students in order to find out where they felt unfair to classify acceptability, relevance, and sufficiency. The students did not refute all of the "unfair parts" that the researcher had created, and did not particularly pick up areas such as understandability or reasoning as points of refutation. Although the refutation was originally to be strategically performed by attacking parts of the world that could be successful, the causes of refusal that students did not select were not just strategic choices, but rather that they did not know where the grounds were unfair Is more appropriate. In order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have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something is not right in the opponent's claim. In addition, we analyze the aspect of developing counter-arguments by various strategies at the points of refusal that the students selected, and examined the justification of the counter-argument. I looked at the part of the opponent's opinion that they felt was unfair,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d with the strategies to counteract this. The detailed strategies for developing counter-arguments are classified as inductive through text analysis, and rather than making names one by one, rather than naming them, the essential issues in the discussion of policy issues should be deduced with a focus on the seriousness, System.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ct an effectiv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how to apply argument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rgumentative writing. As a result, based on the criticism of the opponent 's argument, centering on the "rebuttal", I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writing education that constructs the logic of rebutting the unfair part. The argument is that it is closer to the argument than from the argumentation point of view, and the question of what educational purpose is the 'argumentation' can be asked about the point of emphasizing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the reaction. There is 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argumentation and argumentation from the viewpoint of argumentation, bu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role played by the discussion. Enumeration is the responsibility of verification, and counter-argument is not. If you apply it to writing, it is the introductive writing that you have to work to create a fair proposition without any foundation or foundation. Enumeration must prove and justify everything so that any state change can be legitimately accepted in the state. Such writing is difficult for beginners. On the other hand, the writing of the counter-centering is carried out by finding out the unfair part of the other party's arguments and practicing the logic to rebut it. It is less burdensome than enactment, as you can selectively prove your opponent is not right. The same is true for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the argumentation will be a necessary step for the writers who start with argumentative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reaction is a preliminary step to proceed with full-fledged argumentative writing. If you practice through the argumentative writing stage, which is centered on the counter-argument, as if you are well-informed, you will be free to do argumentative writing in various field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1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1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