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0

박유전제 심청가 中 상여 나가는 대목 분석

Title
박유전제 심청가 中 상여 나가는 대목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Sangyeosori' among Simcheong-ga, Park u jeon-je. - Focused on melody of Sung chang soon-
Author
이선화
Alternative Author(s)
Lee seon hwa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고는 「박유전제 심청가 ‘상여 나가는 대목’」을 대상으로 ‘박유전제 심청가’의 전승과 음악적 특징을 면밀히 고찰하고 ‘긴 상여소리’와 ‘자진 상여소리’가 각각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해 보았다. 첫째, ‘박유전제 심청가’의 전승에서 ‘강산제’가 서편제의 창시자인 박유전에게서 형성되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흔히 이날치판 심청가는 ‘서편제 심청가’라고 하고 정재근에게 전승된 심청가를 ‘강산제 심청가’라고 한다. ‘강산제 심청가’는 정재근- 정응민- 정권진·성창순·성우향·조상현으로 전승되어 온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긴 상여소리’는 엇청, 더음청, 옥타브 진행을 통해 선율적 특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계면에 잘 나타나지 않는 엇청의 출현을 통해 단조로운 진행을 파괴하고, 더음청과 옥타브진행을 보여 줌으로써 화자의 답답하고 애통한 심정, 선율 강조, 극 흐름의 긴장감을 한층 더 고조 시켜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듬부분에서는 쉼표를 통한 리듬의 특징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허나 단순히 박을 쉬어주는 쉼표의 활용만이 아니라 곡의 전체적인 흐름과 감정선, 선율의 강조에도 큰 역할을 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자진 상여소리’의 음악적 특징이다. ‘자진 상여소리’에서는 총 두 가지의 소리길 진행을 찾을 수 있었는데, 계면조 안의 우조길 선율이 나타나는 혼합 형태의 선율진행이 분명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자진 상여소리’의 리듬적 부분이다. 중중모리 장단의 특징과 같이 주로 3소박의 리듬꼴 형태가 선율을 통해 진행되지만 면밀히 살펴보니 한 마디에 2소박 리듬 형태와 3소박 리듬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박유전제 심청가 상여소리’를 살피고 악곡의 음악적 특징 중 선율과 리듬형태에 대해 면밀히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박유전제 심청가 상여소리’ 뿐만 아니라 여러 유파의 ‘심청가 상여소리’ 및 심청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Through 「Park u jeon-je Shimchung-ga ‘Sangyeosori Daemok’」, ‘Park u jeon-je Shimchung-ga’s transmission and musical features will be thoroughly studied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 Sangyeosori’ and ‘Jajin Sangyeosori’. First, transmissions of ‘Park u jeon-je Shimchung-ga’ shows clearly that ‘Gangsan-je’ and it’s fundamentals were established by Park u jeon, the founder of Seopyeon-je. Commonly Inalchipan Shimchung-ga is known as ‘Seopyeon-je Shimchung-ga’ and Chung jae geun’s Shimchung-ga as ‘Gangsan-je Shimchung-ga’. ‘Gangsan-je Shimchung-ga’ is transmitted from Chung jae geunto Chung eung min to Chung kwon jin, Sung chang soon, Sung woo hyang, Cho sang hyun. Second, Eot-chung, Deoeum-chung, and octave sequence shows that ‘Long Sangyeosori’ has melodic features. Unlike Gyeomyeon, Eot-chung breaks the monotonous sequence. Deoeum-chung and octave sequence raise the narrator’s stuffed and grief-stricken feeling, melody, and tension of the play. ‘Long Sangyeosori’ use pauses to make not only rhythm but also expression of the tunes, flow and feeling. Third, in ‘Jajin Sangyeosori’ two sound stream sequence, a mixture of Woo-jo tune inside Gyemyeon-jo, was clearly heard. ‘Jajin Sangyeosori’s rhythm is similar to Jongjongmori rhythm, mostly triple beats, but according to careful examination, it shows multiple rhythms of double beats and triple beats. The study looked through ‘Park u jeon-je Shimchung-ga Sangyeosori’ and its musical features, especially melody and rhythms. Further studies of ‘Park u jeon’s Shimchung-ga Sangyeosori and other sectors of ‘Shimchung-ga Sangyeosori’ are looked forward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1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