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2 0

김세종제 춘향가 中 이별가 분석 연구

Title
김세종제 춘향가 中 이별가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Ibyeolga among Kimsejong's Chunhyang-ga - Focused on melody of Chang Soon Seong -
Author
문혜준
Alternative Author(s)
Moon Hye joon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김세종제 춘향가 中 이별가를 대상으로 김세종제 춘향가의 형성과정과 전승과정을 고찰하여 그 계보를 정리하고, 이별가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성창순의 이별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세종제 춘향가 中 이별가는 총 14대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설 내용을 통해 이몽룡과 춘향이의 이별하는 심정이 가장 잘 드러난 대목은 ‘와상우의~오냐 춘향아’ 대목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김세종제 춘향가는 동편제의 다른 가닥으로 분류되는데, 주로 ‘신재효’를 중심으로 형성된 전승집단에서 기존의 판소리 사설과 음악의 내용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수정된 것으로 보여졌다. 김찬업을 거쳐 송계 정응민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형성하였고, 이로써 김세종제 춘향가는 보성소리의 한 가닥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보성소리는 박유전을 시조로 하였으나 송계 정응민에 의해 완성되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보성소리는 판소리의 일반적인 명명법과는 다르게 ‘전승지역’을 명칭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이 보성소리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이었다. 셋째, 이별가 중 ‘와상우의~오냐 춘향아’ 대목은 진양 장단, 중모리 장단이었으며 각각 21마디, 24마디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대목은 다양한 악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 e♭본청 계면조와 e♭본청 우조, a♭본청 우조로 총 3가지 음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오냐 춘향아’ 대목에서 세 가지 음계를 넘나들며 자주 조 변화를 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조 변화를 통해 이몽룡과 춘향이의 감정묘사를 더욱 심층적으로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판소리에 대한 연구가 사설은 물론 선율에 대한 깊은 연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가 창자들에게 이별가의 깊은 음악적 이해와 해석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Kimsejong-je Ibyeol-ga of Chunhyang-ga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Ibyeol-ga. Changsoon Seong’s Ibyeol-ga is referr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First, Kimsejong-je Chunhyang-ga consists of 14 parts and ‘Wasangwooe~O-nya Chunhyang-a’ is the part that fully expresses Mongryong Lee and Chunhyang’s feelings of farewell. Second, Kimsejong-je Chunhyang-ga is classified as a different strand of Dongpyeon-je since Jaehyo Shin transmitted a new version of the original text and music. Jaehyo Shin passed it down to Chan-eop Kim and Kim to Songgye Eungmin Chung. This means Kimsejong-je Chunhyng-ga is a strand of Bosungsori. Progenitor of Bosungsori is Yoojeon Park and the form was completed by Songgye Eungmin Chung. This means modern Bosungsori was established by Songgye Eungmin Chung. Unlike nomenclature of Pansori, song titles are transmission areas in Bosungsori and this makes Bosungsori distinguishable from Pansori. Third, ‘Wasangwooe~Onya Choon Hyang-a’ from Ibyeol-ga consists of Jinyang Rhythm (21words) and Joongmori Rhythm (24 words). The best feature of this passage is that it carries three different tones; e♭ Gyemyeon-jo, e♭ Woo-jo, and a♭ Woo-jo. The change and cross over of tones emphasis the sorrow and mixture of feelings of Mongryong Lee and Chunhyang. In the end, melodics of Pansori should be studied as much as text and hopefully this paper may help singers’ in depth understanding of Ibyeol-g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0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