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4 0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Change of Public Libraries' Spatial Layout in South Korea : Based on the Domestic Library Policy Review
Author
김현오
Alternative Author(s)
Kim Hyeon Oh
Advisor(s)
김용승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도서관은 과거의 제한적 접근에서 벗어나 자료의 양산과 다양화에 힘입어 모든 사람에게 자료의 접근이 허용된다. 2000년대에 이르러 국내에도 ‘도서관 정보화 추진 종합계획’과 도서관의 유비쿼터스 환경, IC(Information Commons)개념에 도입으로 지식정보환경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은 그 역할이 ‘도시의 거실’로 발전하여 모두를 위한 공공공간으 로 변화하는 흐름을 보인다. 공동체 지원 역할, 지역적 특성 반영 등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공공도서관 기능의 제언은 계속되어 왔지만 이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공간 개념은 아직 모호하다. 다음 세대 공공도서관의 모습을 제시하기 위해서 지난 정책과 권장지침에 내포된 의미와 이에 대응한 공공도서관의 변화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도서관 정책의 중심역할을 해온 중장기도서관 발전계획인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과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을 비교한다. 또한, 공공도서관 건립 권장지침인 ‘공공 도서관건립·운영매뉴얼’의 2013년, 2016년 두 사례를 비교하여 정책적 변화에 대응한 공간영역을 유추한다. 앞서 확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 40개관에 대해 면적비 조사, 공간체계 분석, 공간위상학적 분석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도서관 정책은 이용자중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와 다양한 사회계층에게 열린 유연한 공간을 지향한다. 또한 공공도서관 건립 권장 지침은 이전 보다 구체적인 공간적 개념을 제시한다. 둘째, 자료이용부문과 공용부문은 다른 영역보다 세부적인 계획지침이 존재하며, 면적비 변화를 조사한 결과로 이전 세대의 공공도서관보다 공간구성 비중이 높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공용부문 중에서는 로비공간이 건축적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역할과 기능이 변하고 있으며 자료이용부문에서는 통합된 자료영역을 계획하여 이용자의 능동적인 정보습득을 지원한다. 셋째, 최근 공공도서관은 새로운 요소를 통해 공간구성의 변화가 생기고 있다. 공용부문 중 로비공간은 ‘리딩데크’를 활용한 새로운 계획 방식으로 개방성과 체류를 제공하여 건축적 공공성을 확보한다. 자료영역은 내부계단을 활용하여 수직적 분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공간을 형성하는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을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유형으로 정의한다. 넷째, 공간위상학적 분석을 위해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통합도 분석을 진행 하였다. 새로운 유형의 공공도서관에서는 건물 전체의 위상학적 중심이 리딩데크와 자료영역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반해 이전의 공공도서관에서는 위상학적 중심공간이 비교적 산발적인 분포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최근 공공도서관은 이용자중심의 서비스와 공간을 지역사회에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변화는 자료영역과 로비공간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용자의 능동적인 정보 습득 행위와 체류를 증가시키는 것은 최근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의 특성이며 이를 위해 새로운 계획 요소들이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libraries are allowed access to data by everyone, thanks to the mass production and diversification of data away from their past limited access. By the 2000s, the information service of libraries was changed in South Korea by IT technology. Later, the paradigm of public libraries develops its role as ‘living room of cities’ and shows a trend toward public spaces for all. Although abstract and conceptual roles of public library have been suggested, such as supporting social community and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specific spatial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m are ambiguous. It is necessary to clearly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past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public libraries. In this study, ‘The 1st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09-2013)’ and ‘The 2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4-2018)’, which are central long-term library advancement plans in past decade, are compared. And, comparing the two cases in 2013 and 2016 of the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a recommended guide for public library establishment, it infers the space corresponding to policy changes. Based on the previous finding, the study analyzed the area ratio, spatial configuration, and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40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estic library policy is aimed at providing flexible space open to public and user-oriented social services. In addition, the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establishment suggest more specific spatial concepts than before. Second, there are more detailed planning guidelines than the other areas in the reference and public sec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e area ratio, it can be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these spaces is higher than that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public secti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lobby space are changed to ensure architectural publicness. In the reference section, the integrated space is planned to support users' active information acquisition. Third, recent public library has changed spatial composition through new spatial elements. The lobby space of the public section gets architectural publicity by providing openness and staying ability with a new planning method using 'reading deck'. The Reference space is used as a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vertical separation and to form an integrated space by using the stairs. There are defined as a new type of public library. Fourth, we conducted the integration analysis using spatial syntax for spatial topological analysis. In a new type of public library, the topological center of the whole building tends to form around the ‘reading deck’ and reference space. On the other hand, in the former public library, the topological center space is relatively sporadic. In conclusion, the recent public library aims to provide user-oriented service and facility to the community, and the change is concrete in reference space and lobby space. Increasing conative acts of information acquiring and staying ability is a feature of spatial composition of recent public library and new plan elements are used for these purpos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6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9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DESIGN(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