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2 0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동시대 미술 비평수업 개발 연구

Title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동시대 미술 비평수업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tilizing Geahigan's Critical Inquiry for Self-directed Contemporary Art Critic Class
Author
김한결
Alternative Author(s)
Kim, Han Kyeoul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의 경우, 그간 중요성이 다양한 측면에서 강조되어 왔다. 예를 들어 사회평등에 교육이 진정으로 이바지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자기주도적 학습의 구현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있어왔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태도가 학업 성취의 주요 변인으로서 작용한다는 결론을 도출한 연구 사례 역시 다수 존재한다. 더욱이 최근에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진취적이고 능동적인 인재양성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거듭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음에도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계발 연구의 활성화 정도는 아직 미약한 수준으로 보인다. 이는 미술 교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때문에 학교 교육 전반에 걸쳐서 자기주도적 학습이 강조되는 최근의 흐름에 주목하여, 미술교과 특성에 맞게 자기주도적 학습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시작한 본 연구에서는 미술수업 중에서도 ‘동시대 미술 비평수업’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구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비평활동 자체가 ‘수용자의 적극적인 의미 구성’ 작용을 중시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며, 특히 동시대 미술의 경우 감상자의 능동적 참여가 전제되어야 비로소 의미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비평활동과 동시대 미술의 특성을 고려해 봤을 때,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발휘될 수 있는 수업 구현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주도적 동시대 미술 비평수업’을 계발함에 있어 본 연구자는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이 활용될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이는 비평적 탐구법이 학습자의 능동적 탐구 과정을 요청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과정을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경험을 갖게 하는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을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동시대 미술비평 수업 계발’로 설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자기주도적 학습의 정의와 등장배경, 그것이 이루어지는 과정, 그것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수적 처방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습자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본인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주도성을 획득해가는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특히 교사와의 상호작용 하에 촉진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또 다른 이론적 배경으로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의 특성과 단계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앞서 살핀 자기주도적 학습과 비평적 탐구법의 연관성을 밝혔다. 이를 통하여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학습자 내부에서 진행되는 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며, Geahigan이 제시한 교사의 교육활동도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스캐폴딩 전략과 유사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 후 비평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은 동시대 미술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주요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한 결과 동시대 미술이 워낙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그 정의가 일반화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정의가 일반화될 수 없는 대신에, 여러 학자들이 자주 언급하는 동시대 미술의 특성을 추출할 수는 있었다. 이어서 본 연구자는 이렇게 추출한 동시대 미술의 특성을 기준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대 미술 작품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작품들 중 동시대 미술의 특성이 잘 반영되었으며 비평적 탐구를 촉진시키기에 유리하다 생각되는 도판을 몇 점 선정하여 이를 심층 분석한 뒤, 수업 계발에 활용하였다. 이어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계발하였다. 수업은 Geahigan이 제시한 비평적 탐구법의 단계와 교사 지원 전략을 최대한 활용하되, 좀 더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 제공에 초점을 맞춰 약간의 보완을 하였다. 이러한 수업은 총 8차시에 걸쳐 진행되도록 설계됐다. 수업의 전반부에는 교사의 적극적인 설명과 코칭이 충분히 제공되도록 지도안을 계획하였는데, 이는 학생들이 초기에 자기주도적 학습이 익숙하지 않아 겪을 수 있는 혼란과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었다. 이후 수업이 진행될수록 이러한 적극적 코칭은 줄어들도록 계획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학습자는 점차 스스로 학습의 전 과정을 진행해 나갈것을 요청 받는다. 이는 앞서 수업 전반부에 교사의 코칭하에 습득하게 된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과 능력을, 수업 후반부로 갈수록 스스로 발휘해가며 내면화시키기에 적합하도록 계획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발된 본 수업은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 제공을 위하여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을 최적화시킨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으며, 미술교과의 특성에 맞는 자기주도적 학습경험 제공 방안을 모색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그간 비평적 탐구의 대상으로서 잘 다뤄지지 않은 1989년 이후의 동시대 미술을 비평 대상으로 다뤘다는 점도 연구 성과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발한 수업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지는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수업의 실제 효과를 입증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에서 계발한 수업을 실제 적용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학교 현장의 상황에 맞게 개선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길 희망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가 앞으로 미술교과에서 진행될 자기주도적 학습 관련 연구들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in various aspects. For example, there is a claim that the implemen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is important as a precondition for the real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social equality, and also the result of research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act as the main variables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also many. Moreover,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progressive and proac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quired by future society has been increasing. However, even though such importance is widely acknowledged, the activation level of teaching - learning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seems to be still weak. This is also true of the arts curricul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 way to implement Self-directed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s curriculum, paying attention to the recent trend in which Self-directed learning is emphasized throughout the school education. In this study, which started under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we sought to implement Self-directed learning in Contemporary art criticism class. This is because the criticism itself is an activity that emphasizes the activ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the prisoner, and the Contemporary ar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meaning is constituted through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prisoner.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and Contemporary art. And in developing this Self - leading Contemporary art criticism class, we found that Geahigan 's Critical Inquiry method is worth exploiting. This is because the Critical Inquiry method requires the active inquiry process of the learner, so that the learner has the experience of planning the learning on his own and reflection on the process.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Self-leading Contemporary art criticism class using Geahigan' s Critical Inquiry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defini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its background, the process it takes, and the teaching methods that can facilitate i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defined as an activity in which the learner acquires the initiative throughout his / her learning process i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can be facilitated especially in the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Secondly, Geahigan 's characteristics and stages of the Self Inquiry method are examined as another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ritical Inquiry method is explained. In this way, Geahigan's Critical Inquiry method is conducted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at of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learner, and Geahigan's teaching activities are similar to the scaffolding strategy that can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The conclusion can be drawn. Aft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which was the subject of Critical Inquiry,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viewpoints of major scholars, it was judged that Contemporary art could not be generalized as it spread in various aspects. But instead of being able to generalize justice, we could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that many scholars often refer to. Then, the present researchers analyze the current art works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arts. In addition, sever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were reflected in the works, and some drawings were considered to be useful for promoting Critical Inquiry. We then developed specific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plans. The lessons were supplemented with a focus on providing a more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 while making full use of the steps of the Critical Inquiry method suggested by Geahigan and teacher support strategies. These lessons are designed to be conducted over a total of eight hours. In the first half of the lesson, we planned a plan that would provide a positive explanation and coaching of the teachers, which was to minimize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that students might have experienced when they were not accustomed to early Self-directed learning. As the class progresses, the active coaching is planned to be reduced, and the learner is gradually asked to go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by oneself. It is planned to learn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nd abilities in the first of the class, and students are able to gradually internalize and demonstrate these strategies and abilities themselves, in the last half of the cla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Geahigan 's Critical Inquiry method in order to provide a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it can also be pointed out that the subject of Contemporary art since 1989, which has not been treated well as a subject of Critical Inquiry, was criticized. However, the lesson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limited in that they have not been proven effective because they were not applied at the actual school site. However, in this paper, we can find meaning in finding the way of providing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rt curriculum through presenting the research and concret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In this respec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related researches to be conducted in the art subject in the nearby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5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7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