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9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대용어 사용 양상 분석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대용어 사용 양상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Chinese KFL Students Using a Cohesive Device in Writing : Focusing on Substitution
Author
이시은
Alternative Author(s)
Lee, Si Eun
Advisor(s)
조성문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의 쓰기에 나타난 응결 장치 중 대용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양대학교 유학생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교양 강좌 “고급 한국어” 수업에서 ‘학교 소개하기’라는 주제로 과제로 제출한 중국인 학습자의 작문 112편이다. 이 자료에서 나타나는 오류 중에서 대용어의 잘못된 사용으로 비롯된 것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어 교육의 대용어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연구는 쓰기 교육을 문장 단위의 문법이나 오류 중심이 아닌 텍스트 언어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텍스트성이 갖춰진 글을 생산하려면 기본적으로 응결성(cohesion)과 응집성(coherence)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글쓰기의 기초는 응결 장치(cohesive device)의 적절한 사용이 필수적이다. 응결 장치 이론의 근간이 된 Halliday & Hasan(1976)은 응결 장치를 지시(reference), 대용(substitution), 생략(ellipsis), 접속(conjunction)의 문법적 응결 장치(grammatical devices)와 어휘적 응결 장치(lexical cohesion)로 분류하였다. 한국어 응결 장치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 분류를 바탕으로 구어 및 문어 텍스트의 응결 장치를 전반적으로 다루거나 접속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대용에만 중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리고 대용이 포함된 응결 장치 분석 연구 대부분이 대용과 지시를 분리하지 않고 두 개념을 포함한 연구였다. 이러한 연구 태도는 한국어에서의 대용과 지시의 개념이 영어와 달리 구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대용과 지시를 서로 다른 개념으로 구분하여 중국인 학습자 쓰기 자료의 대용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데 적용하였다. 대용어는 한 개의 문장이나 연결된 문장 안에서 반복되는 요소를 다른 간결한 형태로 대체하는 어휘이다. 이러한 점은 지시와 유사하지만 선행어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다르다. 대용은 반드시 선행어가 텍스트 안에 존재해야 하며, 사용된 대용어는 선행 대상보다 추상적이거나 포괄적 의미 관계를 가진다. 대용어는 문법적 장치(grammatical devices)와 어휘적 장치(lexical devices)로 나누었고, 그 하위 범주에 의존 명사, 대명사, 동·형용사, 구·절을 대용하는 문법적 대용어와 상위어, 유의어 대용과 같은 어휘 대용어로 구분하여 중국어 학습자의 쓰기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대용어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학습자는 대용어를 ‘대명사 > 어휘적 대용 > 의존 명사 > 구·절 > 동사 > 형용사’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용어 오류 빈도는 ‘어휘 > 대명사 > 의존 명사 > 구·절 > 형용사 > 동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국인 학습자들의 대용어 사용률은 높지 않았고, 대신에 동일어 반복현상이 많이 나타났다. 문법적 대용어 사용의 경우 ‘이곳’과 같은 장소 대명사 형태로 대용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학습자들은 일반적으로 구어에서 많이 사용하는 ‘여기, 거기’와 같은 어휘를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동사와 형용사 대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오류율도 높게 나타나 학습자들이 동·형용사 대용어의 정확한 형태와 사용 방법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휘적 대용어의 경우 상위어를 유의어보다 많이 사용하였지만 쓰기 주제와 관련된 쉬운 상위어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용어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응결 장치 중 하나인 ‘대용’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대용어 사용 양상에 따른 특성을 밝혔다는 것이다. 또한 지시와 대용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학자마다 다르게 사용해 왔던 두 개념을 구분하여 규정하였고, 대용의 개념을 새로 밝혔다. 자신의 글이 의도하는 바를 잘 나타내기 위해서는 대용어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하는데 이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대용어 기능과 의미를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수 학습법이나 교재 개발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the writing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by focusing only on the use of substitution and examining the pattern of the use. The study analyzed 112 pieces of writing by Chinese students written for submission to a class named “Advanced Korean,” which is an online elective course offered to overseas students studying at Hanyang University. The title of the writing was set as “Introducing Your University” and the use of substitution, one of the cohesive devices, was analyzed in depth using these writings. This study analyzed writing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ext linguistics rather than in terms of grammar in sentences or identification of errors. In order for writing to have textuality, cohesion and coherence need to be considered and thus appropriate use of the cohesive device is necessary to build a solid writing foundation. Halliday and Hasan (1976) classified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to grammatical devices of reference, substitution, ellipsis, and conjunction and lexical devices. In general, previous studies o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Korean have focused on verbal and written texts or conjunctions and rarely has there been a study solely focused on substitution. Many previous analyses of cohesive devices which included substitution di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concepts of substitution and reference. This is because the concepts of reference and substitution in Korean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m unlike in English. However, this study re-define substitution and reference in Korean into two different concepts and applied the distinction in the analysis of the pattern of substitution use in Chinese students’ writings. A substitution is a vocabulary that replaces a repeated term with another effective term in either one sentence or two connected sentences. This is similar to reference but differs in relation to the antecedent. Substitution must have the antecedent in the text, and the substitution used is either more abstract or inclusive in its meaning than the antecedent. Substitution is divided into grammatical devices and lexical devices and the subcategories are grammatical substitutions such as bound nouns, pronouns, verbs and adjectives, phrases and clauses, and lexical substitution such as hypernyms and synonyms. These classified devic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Chinese students’ writing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sage patterns of Chinese students’ substitution found that they were used in the order of pronoun> lexical substitution> bound noun> phrase> verb> adjective. For the error rate in the use of substitution, this was in the order of lexical substitution> pronoun> bound noun> phrase> adjective> verb. The overall use rate of substitution from Chinese students was not high and they repeatedly used the same words. As for the use of grammatical substitution, this was in the form of place pronouns such as “이곳(this place)” and the students used informal expressions such as “여기, 저기” more often than formal expressions. Furthermore, verb and adjective substitution were hardly used and showed a high rate of error, indicating that the students do not precisely understand the form and method of use for substitution. For lexical substitutions, hypernyms were used more than synonyms, and there was a tendency of the students to search for easer hypernyms related to the title of the text. This result suggests a need for education in the use of substitution in studying Korea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of substitution – one of the cohesive devices – in Chinese students. The study also differentiated the concept of reference and substitution and clarified the concept of the latter,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different concepts depending on the researcher and no differentiation between reference and substitution. Appropriate use of substitution is important in clearly expressing the intention of one’s writing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or textbooks so that students can effectively acquire the forms and meanings of substitution in Korean writing education class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5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3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