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4 0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훈육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훈육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CTV Monitoring and Job Stress on Preschool Teachers’ Child Discipline
Author
채승연
Alternative Author(s)
Chai seung yeon
Advisor(s)
김현수, 김은경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훈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사의 바람직한 훈육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 훈육방식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논리적 설명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강압적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방임적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2019년 1월 6일부터 2019년 1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영유아 훈육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Robinson과 그의 동료들(1995)이 Calzada와 Eyeberg(2002)가 번안한 부모대상 훈육방식 측정도구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을 김명희(2011)가 보육교사용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CCTV 통제 측정을 위한 연구도구는 ‘CCTV와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사 이야기(임수정 외, 2013)’을 참고하여 김혜진(2018)이 연구개발한 CCTV 통제문항을 사용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하여 D’Arienzo, Morraco와 Krajeski(1982)가 개발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에게 맞게 수정보완하고 김혜진(2018)이 교육 여건의 변화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의 훈육방식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등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의 훈육방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의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 훈육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는 논리적 설명 훈육방식에는 부적상관을 보였고 강압과 방임적 훈육방식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논리적 설명 훈육방식에는 부적 상관을, 강압과 방임적 훈육방식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가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를 많이 받을수록 영유아에게 논리적 설명의 훈육방식을 적게 사용하고, 강압적 훈육방식과 방임적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 과부하와 동료 및 학부모와의 상호작용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영유아에게 논리적 설명의 훈육방식을 적게 사용하고, 동료 및 학부모와의 상호작용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영유아에게 강압적인 훈육방식과 방임적인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내 CCTV 통제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훈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증명하였다. 교사가 바람직한 훈육방식을 더 사용하고 부정적 훈육방식을 감소시키기 위해 CCTV 통제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도록 정서적, 심리적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등 다양한 방안의 모색과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유아들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하게끔 하는 영유아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following research is on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s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he teacher’s work stress level on child disciplin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n suggesting desirable discipline methods to the teachers, in order to enrich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to the childre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purpose are the following: 1.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regulations through surveillance cameras in child education centers, teacher’s work stress level, and child discipline methods? 2. How do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s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work stress level affect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2-1. How do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s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work stress level affect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logic and reasons? 2-2. How do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s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work stress level affect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oppression? 2-3. How do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s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work stress level affect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negligence? The subjects of the following research include 201 teachers who work in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January 6th, 2019 to January 20th, 2019,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s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For this research,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has been modified accordingly to the childcare teachers by Kim (2011) and referenced to evaluate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This tool was originally adapted by Calzada & Eyeberg (2002) from the paper developed by Robinson et al. (1995) in order to evaluate the discipline methods used by parents, based on the theory of Baumrind (1991). In order to evaluate the regulation through a surveillance camera, Surveillance Camera Questionnaire, which Kim (2018)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Tales of Preschool Teacher Living with a Surveillance Camera (Lim et al., 2013),” has been used. A tool on evaluating teacher’s work stress level developed by D’Arienzo, Morraco, and Krajeski (1982) has been referenced after appropriate modifications for childcare teachers by Shin (2004) and modifica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in education environment by Kim (2018).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4.0. The frequency distribution has been analyzed to evaluat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have been calculated to examine a tren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education centers, teacher’s work stress level, and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Also, a correlation analysis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education centers, teacher’s work stress level, and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an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work stress level on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listed below.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of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education centers, teacher’s work stress level, and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the existence of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education cente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logic,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oppression and negligence.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care center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teacher’s work stress level. Secon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n the effect of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work stress level on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more a childcare teacher is regulated through surveillance camera, less of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logic is applied to young children, and more of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oppression and negligence. Also, the more a childcare teacher is stressed through work overload and difficult communication with the colleagues and parents, less of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logic are applied to young children. The more a childcare teacher is stressed, more of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using oppression and negligence are applied. Through these results, this research confirms the negative effect of regulation through surveillance camera in chil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work stress level on the child discipline methods. The teachers should be less press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regulations and should be supported by stress-fre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sistance programs for their use of desirable child discipline methods. Following the results, this research would assist in the desirable growth of young children and improved quality of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54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2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