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8 0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및 관리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및 관리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icator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Author
한상미
Alternative Author(s)
HAN SANG MI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및 관리에 대한 평가항목과 지표를 개발하여 인구 10만 이상 72개 도시를 대상으로 평가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하여 파악한 후 개선사항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UN 지속가능한 개발목표 (SDGs, 목표 11개)를 기준으로 항목과 지표는 개정되고 보완되었다. 국내, 국외의 지속가능한 도시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상위개념의 명확한 틀을 설정하였으며, 후 국내․지표와 종합하여, 최종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및 관리 주요평가항목은 인구구조, 주거, 노동시장, 안정 및 지속성, 토지이용, 공공공간, 교통, 환경에너지, 기반시설로 결정되었으며, 세부 평가지표들은 전문가 의견을 적용하여 계량화가 가능한 지표로 최종 선정하였다. 개발된 평가지표들은 전문가 설문 조사를 한 후 계층화 분석법(AHP) 분석을 통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AHP 분석을 통한 중요도 분석결과, 인구구조(0.103), 주거(0.126), 노동시장(0.098), 안정 및 지속성(0.114), 토지이용(0.095), 공공공간(0.098), 교통(0.121), 환경에너지(0.113), 기반시설(0.132)의 순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및 관리 평가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평가지표를 적용하기 위해 72개 도시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및 관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거제시(73.51), 사천시(68.25), 당진시(66.37), 세종시(66.14), 광양시(64.52) 순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도시별로 가장 낮은 지표합의 평가지표들을 기준으로 앞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및 관리에 비중을 높이고 관리해야 할 대상으로 보고, 이에 대한 보완 및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는 출산율, 산림자원, 임대(주거)에 더 비중을 높이고 관리해야 하며, 부산시는 출산율, 실업률, 경제활동 참가율에, 대구시도 기초생활보장자 보호와 출산율, 실업률에 인천시는 풍수해 대비와 실업률, 출산율에, 광주시는 실업률, 기초 생활 보장자 수에, 대전시는 임대주택, 실업률의 확보에 울산시는 풍수해 발생에 가장 높은 순위를 보인 거제시는 대중교통 부분에 보완 및 정비를 한다면 전체적인 도시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궁극적으로 국내 도시들의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비교하는 수단으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향후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원칙을 바탕으로 도시를 계획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도시개발 및 관리 지침으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계속된 모니터링을 통해 도시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지수를 제시함으로써 정부, 지자체, 시민들에게 현 상황을 인지시키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정이 지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evaluation items and indicator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We applied it to 72 cities with population over 100,000 to identify the sustainability of cities and suggest improvement points. Items and indicator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Goal 11: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A clear framework of the upper concept has been set up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ustainable and resilient cities. The main evaluation item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were demographics, residence, labor market,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land use, public space,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energy and infrastructure. The detailed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lected as quantified indicators based on expert opinions. The significance of the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s was calculat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fter questionnaires of exper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the main evaluation item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infrastructure (0.132) was the most important. Then, the residence (0.126) transportation (0.121),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0.114), population (0.103), public space (0.098), labor market (0.098), and land use (0.095) were followed. We assessed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level by applying the developed indicators to 72 cities with population over 100,000. The results showed that Geoje (73.51) got the highest score and Sacheon (68.25), Dangjin (66.37), Sejong (66.14) and Gwangyang (64.52) were superior.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t the evaluation index that has the lowest score in each city as the main management target, and to supplement and improve it. Seoul should increase and manage the proportion of fertility rate, forest resources, rent(housing), and Busan should focus on fertility rate, unemployment rate and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Daegu City needs to focus on the protection of basic livelihood guarantees, fertility rate, and unemployment rate. Incheon needs to highlight on rainfall, unemployment rate, and fertility rate. Gwangju needs to manage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guarantees. Daejeon and Ulsan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rental housing,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flood and water damage, respectively. Geoje, which has the highest level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will help the overall city management by improving the public transport se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ultimately be used as a means to quantitatively measure and compar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of domestic citie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city planning based on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principles, and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city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Ultimately, continuous monitoring of urban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dex is required for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problem solv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3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3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NING(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