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희선-
dc.contributor.author모은정-
dc.date.accessioned2019-08-22T16:39:41Z-
dc.date.available2019-08-22T16:39:41Z-
dc.date.issued2019. 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26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336en_US
dc.description.abstract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급속한 사회변화가 진행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사회자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제로써 사회자본은 공동체와 개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사회변화로 개인주의의 심화와 다양한 사회적 갈등이 야기되고 있으며, 사회자본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과 교육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민간부문에 비해 보수적인 조직문화를 지닌 공공부문에서 신공공관리주의 영향과 정부 정책의 변화로 구성원 간 소통의 부재, 조직 공동체로서의 결합 약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개인의 삶의 질은 복합적인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근로자의 경우 직장생활에서의 만족감이 개인의 삶의 질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사회자본이 삶의 질과 인과관계를 가지며,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에서는 조직적 차원에서 사회자본과 직무만족이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이 저조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삶의 질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에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자본의 주요 구성요소인 신뢰, 네트워크, 규범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더불어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변수들이 삶의 질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그리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들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와 그 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4월 26일부터 2019년 5월 17일까지 서울・경기 지역 소재의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및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수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계수를 활용하였다. 또한 각 변수들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 산출을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및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자본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사회자본의 하위변수인 네트워크 변수를 제외하고 신뢰, 규범 변수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사회자본의 하위변수인 네트워크 변수를 제외하고 신뢰, 규범 변수가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사회자본의 하위변수 중 신뢰와 규범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직무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네트워크는 삶의 질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공부문 근로자의 삶의 질에 대해 사회자본의 하위변수들과 직무만족이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직무만족이 β=0.61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규범 β=0.527, 신뢰 β=0.295, 네트워크 β=0.101 순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공공부문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수립 시 직무만족, 규범, 신뢰, 네트워크 등 변수들 간의 우선순위 크기를 고려하여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조직 내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in Organization on the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모은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o,Eun Jo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행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