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6 0

Impact of coronary artery bypass on mild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Title
Impact of coronary artery bypass on mild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Other Titles
경도의 허혈성 승모판 폐쇄부전에 대한 관상 동맥 우회수술의 역할: 심초음파 분석
Author
Hunbo Shim
Alternative Author(s)
심훈보
Advisor(s)
정원상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1. 목적 경도의 허혈성 승모판 역류가 동반된 환자에 있어서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 승모판 역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이에 1) 경도의 허혈성 승모판 역류 환자에서 관상동맥 우회수술 시행 1년 후 승모판 역류가 몇 %에서 없어지는지 조사하고, 2) 수술 전 초음파상의 지표들로 승모판 역류의 지속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아울러3) 수술 1년 후에 이 지표들의 변화가 있는지, 있다면 집단별로 이 변화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2. 대상 및 방법 수술 전 경도의 허혈성 승모판 역류가 동반된 환자 63명을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승모판 역류가 없어진 집단과 지속된 집단으로 나누었다. 수술 전 및 1년뒤 심초음파를 통해 승모판 배열 형태 및 좌심실 재형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측정하였다. 승모판 역류의 지속을 예측하는 수술 전 인자를 찾기 위해 이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집단별로 이 지표들이 수술 후 1년 후에 변화하는지를 t-test들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3. 결과 관상동맥 우회수술 1년 뒤 승모판 역류는 60% (38/63)의 환자에서 사라졌고 40% (25/63)의 환자에서 지속되었다. 수술 전 심초음파상의 지표로는 수술 후 승모판 역류의 지속을 예측할 수 없었다. 좌심실 구혈률은 양 집단 모두에서 개선되었다 (좌심실 구혈률의 변화: 승모판 역류 해소 집단 40.1±11.3에서 47.7±12.4, p<0.001; 승모판 역류 지속 집단 43.2±14.0에서 39.3±11.6, p=0.035). 좌심실 직경 (<0.001), 용적 (<0.001), 구형성률 (0.047) 그리고 승모판륜 전후 직경 (<0.001)은 승모판 역류가 없어진 집단에서만 개선되었다. 1년 뒤 좌심실 수축기말 용적이 15%이상 감소한 경우는 승모판 역류가 해소된 집단에서 더 높았다 (60.5% vs. 30%, p=0.027). 양 집단 모두에서 수술 전 승모판 배열은 대칭성을 보였으며, 이는 수술 후에도 유의한 변화없이 유지되었다. 4. 결론 경도의 허혈성 승모판 역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만으로 60%의 환자에서 없어졌다. 수술 전 심초음파상의 지표만으로는 승모판 역류의 퇴행/지속 여부를 예측할 수 없었지만, 심초음파 소견 상 승모판 역류가 없어진 환자군에서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 좌심실 역 재형성이 더 많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도의 허혈성 승모판 역류의 지속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단순 심초음파 외에 좌심실 역형성을 예측할 수 있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 Background The fate of mild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MR) after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is not clear. We aimed 1) to determine what percentage of patients with mild ischemic MR undergoing isolated CABG have regression of or persistent MR one year after CABG, 2) to determine if any preoperative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can predict persistent MR, and 3) to find differences in changes of these parameters one year after CABG between groups. 2. Patients and Methods Sixty-three patients with preoperative mild ischemic MR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MR regression and MR persistence one year after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CABG). Echocardiographic indexes indicating mitral leaflet configuration and remodeling of the left ventricle (LV) were measured before and one year after surgery.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seek risk factors for persistent MR after CABG. Changes in these indexes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t-tests. 3. Results One year after CABG, MR regressed in 60% (38/63) of patients and persisted in 40% (25/63) of patients. No preoperative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could predict persistent MR. The ejection fraction (EF) improved in both groups (47.7±12.4 from 40.1±11.3, p<0.001 in the regression group and 43.2±14.0 from 39.3±11.6, p=0.035 in the persistent group). The LV diameter (p<0.001), volume (<0.001), sphericity (P=0.047), and anteroposterior diameter of mitral annulus (p<0.001) improved only in the mitral regurgitation regression group. Reduction in LV end-systolic volume >15% at one year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MR regression group (60.5% vs. 30%, p=0.027). Preoperative leaflet configuration showed symmetry, and this symmetry maintained 1 year after CABG in both groups. 4. Conclusion Isolated CABG improved mild MR in 60% of the patients with mild ischemic MR. Although persistent MR was not predicted by preoperative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indicating geometric changes, in this group of patients, echocardiographic indexes indicated more reverse remodeling after surgical revascularization than in patients with persistent MR after isolated CABG. In this regard, additional tests which could predict LV reverse remodeling would be needed to predict MR persistenc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1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7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