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8 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Title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effects of Multidimentional Perfectionism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uthor
정혜진
Alternative Author(s)
JUNG HYE JIN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양육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효과를 갖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과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국, 공립 어린이집 및 유치원 8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1세부터 만 5세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57명을 선정하였다. 변인들의 내용을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적인 완벽주의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고,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 도구의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았다.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한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완벽주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 & Kenny가 제안한 중다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와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의 세 하위요인인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 모든 요인이 높게 나타났고,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뿐 아니라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또한 높게 나왔으며,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부적웅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양육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인,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둘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양육스트레스의 세 하위요인인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 모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양육스트레스의 요인 중,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같은 개인의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어머니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데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 즉, 상담 및 임상 장면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어머니 자신의 구체적인 완벽주의 유형과 그에 따른 인지적인 정서조절전략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는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and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effect of mothers’ perfectionism on parenting stress. For the research, 257 mothers of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aged from 1 to 5 going to 8 national and public daycares or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do were recruited. To measure variable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cale and Parenting Stress Scale were utilized. Additionally,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relationships of major variable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stres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parenting stress. In specific, the higher the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everyday stress coming from raising children, the burden and distress of acting as parents, a sense of guilt over non-parental care. Moreover, higher other-oriented perfectionism led to higher sense of guilt over non-parental care.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that perfectionism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erms of sub-factors, higher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resulted in higher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well a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higher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ed to higher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arenting stress revealed tha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urden and distress of acting as parents among other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whil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including everyday stress coming from raising children, the burden and distress of acting as parents and a sense of guilt over non-parental ca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such as perfectionism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effect of mothers’ perfectionism on parenting stress.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ous parents education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effect of mothers’ perfectionism on parenting str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 of the two, whil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In specific,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ll the three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including everyday stress coming from raising children, the burden and distress of acting as parents, a sense of guilt over non-parental care. Meanwhil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other-oriented perfectionism on a sense of guilt over non-parental care among other factors of parenting stres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0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2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